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 대통령, 홍남기 부총리 쉽게 못 내치는 이유


입력 2020.11.06 01:00 수정 2020.11.06 04:52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朴정부 청와대 출신 꼬리표에 초기엔 불신

신고리 5·6호 공론조사 계기로 전폭 신임

'2.5회 예산안' '4회 추경안' 전무후무 기록

"탁월한 추진력, 文이 먼저 내치기 어렵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국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5일 홍남기 경제부총리에 대해 "경제회복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이끌 적임자"라며 재신임 의사를 밝혔다. 앞서 3일 "사표를 반려하고 재신임했다"고 한 데 이어 또다시 강조한 셈이다. 홍 부총리의 거취 문제가 일자 문 대통령이 직접 잡음을 차단하고 힘을 실어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를 근거로 여권 안팎에서는 홍 부총리가 다음 개각 때에도 유임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 홍 부총리가 문 대통령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로부터 동시에 두터운 신임을 받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라는 점에서다. 특히 홍 부총리의 '업무 추진력'에 높은 점수를 주는 인사들이 적지 않다.


청와대 출신 여권 핵심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문재인정부 초기 홍 부총리를 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장에 임명했을 당시까지만 해도 내부적으로는 "불신이 더 컸다"고 한다. 박근혜정부 청와대 기획비서관 출신이라는 게 큰 이유였다. 민주당 인사 상당수가 기획재정부 관료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점도 한 몫 했다.


인식이 바뀐 계기는 2017년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조사였다. 공사중단 여부를 공론조사에 맡기기로 결정은 했지만 경험이 없어 절차와 방식을 놓고 우왕좌왕 할 때였다. 모두가 난색을 표하고 있을 때, 외국의 사례를 참고해 부처별 업무영역을 구체적으로 나누고 순서와 일정을 총괄 기획한 이가 홍 부총리였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공론조사에 대한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한 마디씩 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하는지 엄두를 못내고 있을 때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현실로 만들어냈던 사람이 홍남기 당시 국무조정실장"이라며 "완벽한 업무처리에 있어 둘째가라면 서럽다는 이낙연 총리는 물론이고 문 대통령까지 굉장히 흡족해했다"고 회고했다.


주요 정책의 써머리 능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다. 기자 출신인 이낙연 대표는 총리 시절 정책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단순나열식 정책브리핑 대신 요약형을 선호했다고 한다.


이를테면 '3대 중점'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과 같이 소개하는 식이다. 홍 부총리는 이러한 요구도 훌륭히 소화해냈다. 최근 세계은행 개발위원회에서 홍 부총리가 한국판 뉴딜을 '3대 과제 S(Sosial Safety Nets) D(Digital) G(Green)'로 요약·설명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무엇보다 예산안 편성에서 정부의 기대를 충족시켰다. 2018년 12월에 취임한 홍 부총리는 그간 2.5번의 예산안과 올해만 무려 4번의 추경안을 편성하는 찾아보기 힘든 기록을 남겼다.


홍 부총리가 아니었다면 이토록 신속하게 예산안이 편성되고 집행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민주당 인사들과 몇 차례 충돌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의 신뢰가 깨지지 않는 이유다.


또다른 청와대 출신 여권 관계자는 "민주당 내에서 홍 부총리나 기획재정부에 불만이 없지 않고, 대립한 적도 있지만 그 때마다 문 대통령은 홍 부총리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느냐"며 "홍 부총리 만큼 업무추진력을 갖춘 대체자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먼저 내치는 일은 없을 것 같다"고 점쳤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계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