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산업 3대 제조분야 로봇화·지능화
소재·부품·장비의 국내 밸류체인 강화
정부가 내년 주력 제조업 전반에 디지털 혁신을 강화하기로 했다.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할 소부장 기업을 20개 이상 선정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1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제조업 전반에 디지털 네트워크 구조(D.N.A)를 적용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외부효과가 큰 제조업 업종 간 협업을 통한 공통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투입·공정·순환 등 밸류체인 전반을 친환경으로 전환하고, 산단 내 사업장의 생산단계부터 환경오염물질을 감축할 수 있도록 연중 클린팩토리 300개를 짓는다.
선도형 스마트공장인 K-스마트등대공장을 내년 1월 본격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의 레벨(고도화) 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해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 확산을 유도한다.
금속가공, 자동차부품, 전기전자 등 뿌리산업 3대 제조분야를 중심으로 제반기계의 지능화·로봇화을 이행하고, 기계자동제어장치(CNC) 국산화를 추진한다.
상반기에는 스마트시티의 혁신기술·서비스 도입을 위해 규제 신속확인 절차를 신설하고, 지자체 출자특례를 마련하는 등 스마트도시법 개정에 나선다. 지자체 주도로 25개 스마트 그린도시를 구축하고 산단 내 그린 에너지 활용을 지원하는 스마트 그린산단를 조성한다.
경제자유구역 운영방향을 개발·외투유치에서 혁신성장까지 확대하고, 경자구역 입주 국내기업에 입지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중장기적으로 경제특구의 인센티브 개선, 경제특구간 연계·협력 강화 등 경제특구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소부장 2.0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국내 밸류체인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대(對)세계 338개+α 핵심품목에 대해 기술개발에 나서고, 해외 M&A와 해외투자 유치 등으로 공급 안정화를 추진한다. 글로벌 수요기업 중심의 소부장 특화단지를 지정해 집중 지원한다.
기술개발 측면에서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에 선제 대응해 공급망을 안정화시키고, 미래 공급망을 창출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추진한다.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센터에 '소부장 특허분쟁대응 전담반'을 설치해 원스톱 특허분쟁지원 프로그램도 제공할 계획이다.
나아가 국내 공급 안정화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할 '소부장 으뜸기업'을 내년에 20개 이상 선정하여 집중 지원한다. 10대 주요 수출국과 10대 유망품목을 선정해 기술규제 정보를 상시 제공하는 '10×10 정보맵'을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