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꾸려 호소문 발표…"거리두기 치짐 완화해야"
"현장 목소리 반영한 현실적 대안 마련해야"
1년을 넘어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여파로 공연문화업계가 도산 위기에 직면했다. 각 분야 관계자들은 대책위원회를 마련해, 공연 정상화를 위해 연이어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초반부터 정부 지원에서 소외되고, 엄격한 규제책에 더 이상 물러날 곳 없는 대중음악 공연계도 뒤늦게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목소리를 냈다.
지난 한 해 대중음악 공연계는 코로나19의 직접 타격을 입고 빈사 상태나 다름없었다. 대중음악 공연의 매출은 90% 이상 줄었고, 수많은 공연 기획사와 시스템 업체의 도산했고, 홍대 앞 유명 소극장 세 곳이 문을 닫았다. 어렵게 버티고 있는 상당수의 업체들도 현재와 같은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한 규제가 유지된다면 연쇄 도산이 불가피한 처지다.
이는 단순히 한 업체가 사라지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들이 오랜 기간 쌓아온 현장의 노하우와 음악적 네트워크가 동시에 사라지는 셈이다.
가장 큰 문제는 대중음악 콘서트에 대한 방역 당국의 예단과 편견이다. 대중음악 콘서트에 대해 ‘관객의 집단 가창과 함성으로 인한 비말 전파 위험이 높다’는 정부의 판단이 있었지만, 회당 5000석 규모로 연관객 10만명을 동원한 ‘미스트롯 콘서트’의 경우 관객 감염 사례가 없었다.
그럼에도 500명 이상 모이는 대중음악 공연을 일반 행사로 분류하고, 1.5단계부터 지자체와 협의하도록 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가이드라인이 다르고, 타 장르에 비해 엄격한 기준이 제시됐다. 정부가 타 장르 공연에 제시한 통일된 세칙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결국 지난해 대중음악 공연의 95%가 무산됐다. 제작사 쇼플레이 임동균 대표는 “‘미스터트롯’의 지난해 피해액을 대략적으로 산정해 본다면 100억원 이상”이라고 말했다.
임 대표는 “누구보다 현장에서 뛰는 사람들이 코로나19의 위험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그동안 공연을 진행하면서 공연장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 생업 현장이 어떤 곳보다 안전한 곳임을 입증하려고 노력했다”면서 “무조건 공연을 하겠다는 취지는 아니다. 다만 우리에게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공연의 개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을 달라는 것이다. 방역 방침에 따라 적자를 보면서도 공연을 진행할지, 혹은 포기할지는 적어도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공연기획사, 제작사, 음악 레이블, 프로덕션, 아티스트 등으로 구성된 ‘대중음악공연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대정부 호소문에서 “대중음악 공연은 뮤지컬, 연극, 클래식 등에 비해 훨씬 엄격한 기준 적용을 받았다”면서 “대중음악 공연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최소한 타 장르 공연과 같은 기준으로 관객을 모을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비대위는 ▲ 공연장 객석 간 거리 두기 기준 완화 ▲ 소규모 공연장 입장 관객 제한 기준 상향 조정(현행 50명 이하→정원 70% 이하) ▲ 체육시설, 전시장, 야외 시설 등에서 여는 공연에 대한 구체적 지침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 밖에 좌석 수를 변동할 수 있는 공연장을 실제로는 존재하지도 않는 ‘스탠딩 공연장’으로 분류해 규제하는 대신 ‘스탠딩 공연’에만 제한하라고 주문했다.
대중음악 공연계가 이번 호소문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건 ‘특혜’가 아니다. 다만 ‘편견’만 거둬달라는 의미다. 그동안 이런 편견에도 불구하고 대중음악 공연계는 집단행동에 나서는 것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임 대표는 “대중음악 공연의 특성상 특정 ‘가수’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쉽게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그 특정 가수들에게 피해가 갈 것을 우려해 숨죽여 왔던 것”이라며 “하지만 이제 공연에 참여하는 시스템 업체, 경호업체, 작게는 케이터링·도시락업체 등의 소상공인들까지 벼랑 끝에 몰리면서 목소리를 내야할 시점이라는 것에 뜻을 모았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성 있는 대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비대위를 구성한 이유를 설명했다.
비대위 역시 “문화 인프라는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쉽게 복구할 수 없는 사회적 자산이다. 우리가 자랑하는 케이팝의 화려한 성공 역시 이런 인프라 위에서 가능 했다. 케이팝 산업을 가장 밑에서 떠받치고 있는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에서 내세우는 비대면 공연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 일부 성공 사례를 앞세워 공연계의 고통을 덮어버리고 외면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