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출비중 35% 목표…친환경차 중심 국가 구현
정부, 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 논의
정부가 전기차·수소차를 앞세운 친환경차 보급·개발에 속도를 낸다. 최근 자동차 수출에서 친환경차 비중이 높아지면서 올해를 글로벌 붐업 원년으로 삼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오는 2025년에는 친환경차 수출비중을 35%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체적 방안도 나왔다.
정부는 18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에서 제122회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논의했다.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은 산업통상자원부가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육성전략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친환경차 확산으로 오는 2030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을 내걸었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283만대, 2030년까지 785만대 친환경차가 보급될 수 있도록 대규모 공공·민간 수요창출과 친환경차 공급확대를 추진한다.
충전인프라는 전기차의 경우 전기차 보급대수의 50% 이상으로 충전기가 구축되도록 지원(2025년 50만기↑)하고, 20분 충전으로 300km주행이 가능한 초급속 충전기(21년 123기+α)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전국 어디서든 30분내에 충전소 도달이 가능토록 2025년까지 충전소 450기를 구축한다. 특히 차량대비 충전소가 부족한 서울·수도권에 전략적으로 집중 배치된다.
또 전용플랫폼, 부품소재 국산화 등으로 2025년까지 차량가격을 1000만원 이상 인하하고 올해말 만료되는 친환경차 세제혜택(개소세·취득세 등) 연장을 검토한다. 배터리리스 사업 도입으로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도 대책에 담길 예정이다.
정부는 전기차·수소차 모두 내연기관차 이상 성능을 확보해 세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친환경차 수출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놨다.
친환경차 수출은 2025년 연간 83만대로 올해보다 3배 늘린다. 이렇게 되면 친환경차 수출 비중은 올해 14.6%에서 34.6%로 높아진다.
전기차는 배터리 에너지밀도 향상, 열관리 시스템 효율 개선, 부품 경량화 등 전비·주행거리 성능개선에 집중한다.
수소차는 같은 기간 상용차를 모든 차급으로 확대 출시하고 내구성(50만km↑)·주행거리(800km↑)를 대폭 개선한다. 또 액화수소 차량 개발(~2025년) 및 실증(2026년~)을 통해 디젤트럭과 동등한 수준의 주행거리(1000km이상)를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한편 정부는 2025년까지 500개, 2030년까지 1000개 부품기업을 미래차산업 관련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완성차와 1·2차 부품사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가치사슬 One-Shot’ 전환을 추진한다. 연간 100개 이상 사업재편 희망기업 발굴하고 금융·기술·공정·인력 등 사업재편 4대 지원수단 확충 방안도 마련한다.
이밖에 미래차 분야 중소·중견 뉴플레이어(New-Player) 육성, 공용플랫폼 개발(초소형 전기차, 버스·트럭), 수소버스 전환, 특장차(청소·살수차 등) 친환경차 전환 등 틈새시장 개척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토대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