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에서 주말 쿠데타 규탄시위 도중 군경의 무차별 총격에 목숨을 잃는 사건이 이어지면서 유혈 사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군정이 국제 사회의 제재 움직임은 물론 폭력진압 비판에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상황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심각한 부정이 발생했음에도 문민정부가 이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1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21일 현지 매체 및 외신에 따르면 전날 밤 최대 도시 양곤에서 민간 자경단 한 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 버마어판은 경찰이 이 자경단을 쐈다고 보도했지만,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SNS에도 군정이 인터넷을 차단하기 전 전날 밤 자경단 한 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는 글들이 이어졌다.
앞서 전날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는 군경이 쿠데타 규탄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 발포, 최소 2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부상했다.
시위대에 총을 쏜 군대는 2017년 로힝야족 학살사건에 연루된 제33 경보병 사단 소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수도 네피도에서 시위 도중 경찰 실탄에 머리를 맞고 뇌사 상태에 빠졌던 한 명도 지난 19일 결국 숨졌다. 쿠데타 이후 처음 발생한 시위 참가자의 사망이었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1일 쿠데타 발발 이후 전날까지 569명이 군정에 의해 체포됐다고 밝혔다. 이런 보도 및 SNS상의 주장에 대해 미얀마 군정은 어떠한 확인도 해주지 않고 있다고 외신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