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권리당원 투표 시작…3월 1일 결판
'박영선, 본선경쟁력 vs 우상호, 민주당 정통'
상대 후보 부동산 공약 비판하며 날선 공방
박원순에 대해선 "시민중심 시정" 평가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를 결정할 경선 투표가 26일부터 3월 1일까지 진행된다. 민주당에서 선출된 후보는 열린민주당 김진애 후보, 시대전환 조정훈 후보와 다시 한번 단일화 과정을 거친 뒤 범여권 후보 자격으로 오는 4월 7일 서울시장 재보선 본선에 나서게 된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27일 오후 10시까지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가 먼저 진행된다. 투표가능 인원은 서울지역 권리당원으로 약 18만 명 수준이다. 28일과 3월 1일에는 안심번호 선거인단 6만 명과 온라인 투표를 하지 못한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ARS 전화투표가 진행된다.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각각 득표율로 환산해 50%씩 반영해 최종 승자를 가리게 된다. 권리당원에게 투표기회가 더 많이 주어지는 방식이 특징이다.
박영선 후보 진영은 '본선 경쟁력'을 고려한 권리당원들의 전략적 투표를, 우상호 후보 진영은 당내 조직적 우위를 각각 기대하며 민주당 경선투표 방식이 자신들에게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25일 밤 열린 마지막 토론회에서 이 같은 전략적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박 후보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일할 때 중소기업 대표를 설득해 쥐어짜는 주사기를 스마트 공장으로 대량생산하도록 했다"며 중도층을 겨냥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전문성을 내세웠다.
반면 우 후보는 "누가 서민과 약자를 지킬 민주당 다운 후보인지, 누가 문재인 대통령을 끝까지 지킬 후보인지, 범민주주의 지지층을 가장 잘 결집시킬 후보가 누구인지 봐야 한다"며 민주당 정통성을 강조했다.
이번 서울시장 재보선의 핵심 쟁점인 부동산 정책을 두고도 상대 후보의 공약을 비판하며 날선 공방을 벌였다.
먼저 박 후보는 우 후보의 '강변도로 및 철로 위 공공주택' 공약에 대해 "철로 위에 건설하는 것에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고, 기차가 달릴 때 공사를 할 수 없어서 기간이 오래 걸린다"며 "우 후보의 생각만큼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강변 지역 고층 아파트 건설이 공공 조망권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전했다.
우 후보는 박 후보의 '공공주택 30만 가구 공급'에 대해 "강북의 대규모 공공주택 단지를 다 개발해도 3,000세대 밖에 나오지 않는다"고 꼬집었고, 물재생센터 부지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악취가 심해서 민원이 발생하고 있고 지하로 넣는다고 해도 시간이 오래 걸려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비판했다.
특히 박 후보가 야심 차게 내놓은 공약인 '수직정원'은 "흉물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 후보는 중국 쓰촨성의 수직정원 사례를 들어 "나무가 콘크리트를 약화시키고, 모기가 들끓을 것"이라고 했고, 낙엽 등 관리의 어려움도 제기했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 대해서는 두 후보 모두 각자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우 후보는 "화려한 랜드마크에 집착하지 않고 시민의 삶에 스며들어 크고 작은 변화를 만드는 데 주력했다"며 "혁신 정책은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는 "(박 전 시장은) 시민의 삶을 파고들어 정책을 만들었고, 서울시민에게 우리 동네 서울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줬다"며 "복지행정, 생활형 시장으로서의 정책은 잘 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