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법원, '北 사업가' 美 송환 결정
돈세탁으로 인한 대북제재 위반 혐의 적용
北 "이번 사건 주범인 美, 대가 치를 것"
북한이 말레이시아에서 대북제재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았던 자국 사업가의 미국 송환에 반발해 외교관계를 단절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외무성은 19일 발표한 성명에서 말레이시아가 지난 17일 "무고한 우리 공민을 '범죄자'로 매도해 끝끝내 미국에 강압적으로 인도했다"며 "이는 우리 공화국을 고립·압살하려는 미국의 극악무도한 적대시 책동과 말레이시아 당국의 친미 굴욕이 빚어낸 반공화국 음모 결탁의 직접적 산물"이라고 비판했다.
외무성은 "말레이시아 당국의 이번 행위는 우리 국가의 자주권과 생존권, 발전권을 침탈하려는 미국의 반공화국 적대시 책동에 대한 노골적인 편승이고 직접적인 가담"이라며 "우리는 미국의 강박에 굴복해 우리 국가를 반대하는 특대형 적대 행위를 감행한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완전히 단절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의 배후조종자, 주범인 미국도 응당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김여정·최선희 담화'를 통해 미국을 겨냥해 상호주의 대응을 천명하며, 적대시 정책 철회를 요구한 북한이 '명분 축적용'으로 이번 사건을 부각시킨 모양새다.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최근 담화에서 "미국은 자기들이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계속 추구하는 속에서 우리가 과연 무엇을 할 것인지를 잘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군사도발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외무성은 "우리 대표부와 변호사가 불법자금 세척과 관련한 증거를 제시할 것을 말레이시아 사법 당국에 강력히 요구했지만 한 번도 물질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말레이시아는 당치 않은 모략을 날조해 우리 공민을 백주에 체포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문제의 우리 공민은 다년간 싱가포르에서 합법적인 대외무역 활동에 종사해온 일꾼"이라며 "그 무슨 '불법자금 세척(세탁)'에 관여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날조이며 완전한 모략"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말레이시아 대법원은 지난 10일(현지시각) 돈세탁 정황이 포착된 북한 남성 문철명에 유엔 대북제재 위반 혐의를 적용해 미국 송환을 결정한 하급 법원의 판결을 확정 지은 바 있다
외무성은 말레이시아 사법 당국 주요 인사들이 미국 대사로부터 '술 접대와 사례금'을 받았다며 그로 인해 미국산 무기들이 무상으로 말레이시아에 제공되는 협상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외무성은 말레이시아에 대해 "불법무법의 오합지졸이자 몇 푼의 '딸라(달러)'를 위해서라면 정의도, 양심도, 체면도 서슴없이 줴던지고 있다"며 "미국의 부당한 압력에 맹신맹종하다 공인된 국제법도 무시하고 우리 공민을 적대시 책동의 제물로 섬겨 바친 대범죄를 저질렀다"라고 쏘아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