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 준공업지역 일대, 쌍문역 동·서측 후보지 주민 만나보니
“민간개발보다 토지주 수익률 30%p 높다면 안 할 이유 없다”
“주민동의 없이 지자체 일방추천...사업 추진 원활할지 의문”
지난 1일 도봉구 창동 준공업지역 일대. 정부가 ‘2·4 대책’ 후속조치로 추진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창동 674번지(9787㎡)와 창2동 주민센터 인근(1만5456㎡ )이다.
4호선 쌍문역에서 5분 정도 걸어가면 나오는 이곳 지역들은, 작은 도로를 따라 양쪽으로 빌라촌이 형성된 그다지 특별할 것 없는 조용한 동네다.
쌍문역 왕복 6차선 큰 대로변에서 큰 골목으로 들어가 창동 674번지 일대를 걸어가는 내내 보이는 것은 공장이 아닌 작은 카페와 음식점, 여러 상점 등이다.
과거 섬유산업 공장이 밀집했던 곳이지만, 현재는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대형공장이나 하다못해 소형공장도 찾아보기 어렵다. 길가에 간간이 보이는 양말·장갑 도소매 상점 등이 그나마 과거 섬유산업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80년대 대형공장 이전에 따라 산업기능이 위축되며 주거지역화됐다는 정부 설명대로다.
국토부는 지난달 31일 ‘3080+ 주택공급 방안 1차 선도사업 후보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대상지역은 금천·도봉·영등포·은평구 4개구, 21곳이다.
21곳은 세부적으로 역세권(9곳)·준공업(2곳)·저층주거지역(10곳)이 선정됐다. 도봉구는 4개구 중 유일하게 역세권·준공업·저층주거지역이 모두 들어갔다. 준공업단지 역시 창동 일대가 유일하다.
선정된 후보지는 지자체가 국토부에 추천한 곳들로 주민 동의를 받아야 한다. 정부는 투기수요를 막기 위해 ‘선 후보지 선정, 후 주민 동의’ 방식을 택했다.
후보지가 예비지구(주민동의 10%)를 거쳐 본 사업지구로 확정하려면 주민동의 3분의 2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이번 사업의 성패는 주민 호응에 달렸다.
이날 창동 674번지 일대에서 만난 건물주 A씨는 “정부 발표가 어제 났고 아직 들은 것이 없기에 동의를 할지 안 할지 결정하지 않았다”며 “정부가 설명한 것처럼 민간개발보다 토지주 수익률이 30%p 높다면 안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A씨는 이 지역에서 40년을 거주하며 섬유산업의 흥망성쇄를 모두 지켜봤다고 했다. A씨는 “지금 건물 지하 등에 양말 공장 등이 남아있긴 하지만 큰 옷 공장 등은 다 없어진 지 오래”라며 “이곳 대부분이 돈이 크게 되지 않는 빌라·주택촌이라 집주인들이 정부 사업에 따를 것 같다”고 설명했다.
쌍문역 일대는 창동 준공업지역과 함께 쌍문역 동측과 서측 모두 역세권 후보지로 선정됐다. 동측 면적은 1만5272㎡ 서측은 4만1276㎡으로 각각 447가구, 1151가구 공급 규모가 계획됐다.
신도봉중학교 뒤편에 위치한 이날 찾은 쌍문역 서측 후보지 역시 역에서 걸어서 5분 정도 걸린다. 정부는 이곳 노후도는 78%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쌍문역 서측 후보지는 서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빌라 밀집지역으로, 생각만큼 노후 되지는 않았다.
인근 C공인 대표는 “쌍문역 일대는 다른 재개발 지역처럼 많이 낙후된 지역도 아니며, 개발 요구도 많은 지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주민 의사는 물어보지 않고 나라에서 일방적으로 후보지를 지정하지 않았느냐”며 “주민들이 흔쾌히 사업에 동의할지, 과연 이 사업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후보지 발표→예정지구 지정→본지구 지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투기적 수요가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아직 이번 21곳 후보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지는 않았다. 다만 추후 동향을 살펴 과열 조짐이 있으면 지정할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또 2·4 대책 발표일 이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에서 부동산을 매수한 이들에게는 우선공급권을 주지 않기로 했다.
문제는 후보지로 지정하지 않은 인근 지역이다. 쌍문역 동측 후보지에 위치한 D공인 관계자는 “최근 쌍문역 근방 건물을 50억원에 내놓은 건물주가 어제 개발소식을 접하고 오늘 아침 가격을 5억원 올렸다”며 “개발 호재로 이 일대가 들썩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