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기업 74% "2050 탄소중립은 위기"…35% "대응 못해"


입력 2021.04.18 12:00 수정 2021.04.18 11:26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대한상의,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 대상 '탄소중립 대응실태' 조사

57.3% "어렵지만 가야할 길" vs 42.7% "현실적으로 어렵다"

'2050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들은 ‘2050 탄소중립’을 어렵지만 가야할 길로 보면서도 당장은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중인 기업(684개사 중 403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2050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실태와 과제’ 조사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57.3%가 2050 탄소중립을 ‘어렵지만 가야할 길’로 평가했다. 이에 비해 ‘현실적으로 탄소중립은 어렵다’는 기업도 42.7%나 됐다.


탄소중립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온실가스 순배출(배출량-흡수량)을 ‘0’으로 하겠다는 목표다. EU·일본이 2050년,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했고 미국 역시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면서 탄소중립을 공언한 상태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바 있다.


탄소중립이 피할 수 없는 길이지만 당장에는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보는 기업이 많았다.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쟁력 약화 위기’(59.3%) 또는 ‘업종 존속 위기’(14.9%)라고 응답한 기업이 74.2%를 차지했다. ‘경쟁력 강화 기회’라고 보는 기업은 25.8%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64.8%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 중’(31.0%) 또는 ‘대응계획 중’(33.8%)이라고 답했다. 반면, 35.2%는 ‘대응하지 못한다’를 선택했다.


탄소중립 대응에 나선 기업은 그 이유로 규제를 주로 꼽았다. ‘현재의 규제’(39.0%) 또는 ‘규제강화 대비’(21.7%)가 60.7%를 차지했다.


‘ESG 실천’(16.9%), ‘경쟁력 강화’(12.5%), ‘공급망 등의 요구’(5.2%), ‘기후위기 대응 동참’(2.9%) 등 적극적 이유로 대응한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 은 1.8%에 불과했다.


대응 내용으로는 ‘사업장내 온실가스 감축투자’(75.5%)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외 ‘RE100 등 이니셔티브 참여’(9.3%), ‘외부감축사업 추진’(7.6), ‘탈탄소 기술개발 참여’(7.2%) 등이 뒤를 이었다.


아직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비용 부담’(41.7%), ‘감축방법 부재’(31.3%), ‘우선순위에서 밀림’(22.2%) 순으로 이유를 들었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발전·수송 부문과 달리 산업 부문은 아직 탈탄소 혁신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탄소제로가 최종목표이지만 현재는 점차 강화되는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수준”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탄소중립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 ⓒ대한상공회의소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R&D) 과제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4.8%)을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공정가스 대체·감축 기술’(22.5%),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22.2%), ‘자원순환 기술’(17.5%),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13.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위해 시급한 정책과제로 ‘감축투자 지원’(36.7%)과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31.0%)을 요청한 기업이 많았고, 이어 ‘재생·수소에너지 공급인프라 구축’(15.1%), ‘법제도 합리화’(11.2%), ‘협력 네트워크 구축’(5.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EU와 미국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탄소국경세가 시행된다면 73.7%의 기업이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국경세는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생산한 상품을 규제가 강한 국가로 수출할 때 탄소비용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김녹영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센터장은 “이번 조사결과 우리 기업들은 2050 탄소중립을 불가피한 과제로 인식하면서도 현실적인 탄소감축의 어려움과 기업경영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탄소중립을 현실화하려면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탈탄소 혁신기술에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과 함께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