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추위 구성 이후 후속 인선절차 '미정'…하마평도 전무
기재부 등 경제라인 정비 움직임에 당국 무관심도 한몫
후임 인선 안갯속에 윤대희 현 이사장 연임설도 힘 실려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임기가 1개월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후임 인선이 여전히 안갯속이다. 최근 정부의 경제라인 정비 움직임과 관계당국의 무관심 속 이사장 인선절차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가운데 일각에서는 윤 이사장의 연임설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6월 4일 임기가 종료되는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의 후임인선 절차가 사실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에 따라 이사장 선임을 위한 추천위원회가 구성되기는 했지만 이후 2주가 넘도록 실질적인 후임자 인선 절차인 ‘이사장 공개모집’ 공고 등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보 관계자는 “새로운 이사장 인선을 위해서는 공모부터 면접, 추천과 검증 절차까지 대략 한 달 가량이 소요된다”며 “때문에 늦어도 지금쯤은 선임절차를 진행해야 하지만 아직 관련 일정이 나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신보 수장 인선 절차가 지지부진한 배경에는 청와대 등 윗선의 무관심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공공기관장인 신보 이사장직의 경우 금융위원회(정부)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칼자루를 쥔 청와대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면서 해당 기관은 임추위를 구성해놓고도 인선 후속절차를 진행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경제라인 개각 가능성 역시 윤 이사장 후임 인선 절차를 늦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인적쇄신의 일환으로 총리에 이어 금융당국 수장을 교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데 홍남기 경제부총리 후임으로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이 거론된다. 이 중 만약 은 위원장이 자리를 옮길 경우 신보 수장 제청권한을 쥔 금융위원장이 공석이 되는 만큼 인선 작업은 더욱 뒷전으로 밀릴 여지가 크다.
이와 같이 신보 수장 인선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일각에서는 윤대희 현 이사장에 대한 연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사장 신규 선임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된 과정들을 전부 거쳐야 하지만 기존 이사장 연임 결정은 금융위원회 결정 및 통보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를 1년 앞두고 있는 만큼 새 기관장이 오더라도 임기 3년을 채우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이같은 연임설에 힘을 보탠다.
신보 역시 수장 임기 만료 후에도 후임자 인선이 마무리될 때까지 기존 이사장이 업무를 그대로 이어가도록 규정돼 있어 당장의 업무공백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기관장 인사가 지체될수록 기관의 장기사업계획을 확정하거나 신규사업 및 의사결정 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금융공공기관 관계자는 “신보의 경우 중소기업 보증지원기관으로 코로나19 장기화 속 기업 지원에 적극 대응해야 하는 등 다뤄야 할 업무가 만만치 않다"면서 "기관의 안정적 운영과 기업 지원 측면에서라도 속도감 있는 결정과 후속 인선 작업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