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양국 협력 장기적 대량 생산기지 구축 의미
美 첫 백신 파트너십 체결...전문가그룹 구성해 속도
정부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백신 파트너십의 구체화를 위해 후속 실무 협의를 진행할 전문가그룹을 구성하는 등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23일 진행된 '한·미 백신 협력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번 백신 파트너십은 미국의 우수한 기술과 한국의 생산 능력이 합해져 장기적인 대량 생산기지를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백악관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
양국간 파트너십 일환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는 등 정상회담기간 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미국이 정부 차원의 백신 파트너십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이번 합의의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양국 과학자, 전문가,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그룹을 신속히 구성할 계획이다. 이들은 백신 파트너십의 주요 내용인 생산이나 연구개발(R&D), 원부자재에 대한 협력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향후 기술 이전 및 시험 생산을 거쳐 올 3분기부터 국내에서 모더나 백신의 대량 위탁 생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정부는 위탁 생산분이 국내에도 공급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정 국장은 "이번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위탁생산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앞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물량이 국내에 공급되도록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위탁생산과 별개로 이미 계약한 모더나 백신은 계획대로 도입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강도태 보건복지구 2차관은 "국내에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은 위탁·생산 시가와 상관없이 계약된 일정에 따라 도입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이 우리 장병 55만명이 접종할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구체적인 접종 일정은 미국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차관은 "구체적인 시기와 어떤 백신을 접종할지도 외교적인 노력으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