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LG전자·자원순환사회연대, 탈플라스틱 전환 맞손
연간 폐플라스틱 재활용 1050t, 플라스틱 사용절감 1만t 기대
환경부는 LG전자, 자원순환사회연대와 함께1일오후 엘지사이언스파크(서울 강서구 소재)에서 가전분야‘탈플라스틱 실천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홍정기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박형세 LG전자부사장,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 등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텔레비전, 사운드바 등 가전제품에 들어가는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면서 기존플라스틱도 재생원료로 대체하는 등 가전분야 탈플라스틱 실천을 위해 마련됐다.
LG전자는 올해부터 텔레비전과 사운드바 본체에사용하는 플라스틱 원료의 약 30%를 폐자동차 전조등 또는 폐가전제품 등을 재활용해 생산한 재생원료로 대체한다. 또 페트병 재생원료를 100% 사용한 직물 소재를 외관에 적용한 사운드바 제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유통과정에서도 플라스틱을 저감하기 위해 사운드바 포장에 사용하는 스티로폼은 종이 완충재로 바꾼다. 에어콘 실외기 포장에 사용한 종이박스와 스티로폼 완충재도 다회용 포장재로 교체한다.
이와 함께 LCD 텔레비전 대비 플라스틱 사용량이 30%에 불과한 OLED 텔레비전 제품 생산확대에 나선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LG전자는다른 제품에대해서도중장기적으로일정비율 이상 재생원료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연내에 마련할 계획이다.
LG전자는올 한해 탈플라스틱 실천을 통해 폐플라스틱 약 1050t을 재활용하고 1만여t 플라스틱(스티로폼 포함)을 절감할것으로 내다봤다.
자원순환사회연대는 재생원료 사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인식개선 및 착한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소비자 홍보, 교육 등 기업 탈플라스틱 전환을 지원하기로 했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며 “세계를 선도하는 가전분야 대표 기업에서 탈플라스틱실천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