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초강세 배경에도 ‘폴리코노미’ 작용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현상 강화 가능성↑
최근 글로벌 증시 폭락과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원인 중 하나로 ‘폴리코노미’ 리스크가 꼽힌다. 폴리코노미 현상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향후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잠재적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8일 보고서를 통해 “이번 글로벌 증시 폭락 사태에는 엔화 초강세발 유동성 충격이 큰 역할을 했는데 엔화 초강세를 촉발한 배경에도 폴리코노미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폴리코노미(Policonomy)는 폴리틱스(Politics)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정치에 경제가 휘둘리는 현상을 뜻한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 등으로 인해 폴리코노미 현상이 보다 강해지면서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달 31일 조기 금리인상에 나섰는데, 이 배경에는 일본정부의 압박이 거론된다. 일본은행의 통화정책회의가 열리기 이전부터 일본정부가 일본은행이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바 있다.
오는 9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현 기시다 총리 연임을 위해 ‘슈퍼 엔저’ 후유증으로 초래된 낮은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한 조치로는 엔화 강세 전환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후 우에다 총재는 기자회견을 통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는 매파적 발언을 했다. 이는 다소 진정되던 엔화 초강세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더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박 연구원은 “일본은행은 전세계 중앙은행 중 유동성을 대규모로 풀고 있는 유일한 중앙은행”이라며 “글로벌 유동성의 주된 공급원인 일본이 정치에 의해 좌우된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경기 사이클 상 불확실성 확대와 저성장, 각종 리스크 등으로 폴리코노미 현상이 더욱 강화될 공산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전히 막대한 유동성이 자산가격의 등락을 결정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폴리코노미 리스크가 유동성 흐름을 급격히 변화시키며 자산가격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대선 공약에서 확인되듯 주요국의 자국우선주의 혹은 보호주의 색채 강화 등은 폴리코노미 현상을 확산시키는 토양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폴리코노미 현상 강화 속 경기 침체 리스크에 직면하는 경우에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금융시장 변동성을 경험할 여지도 배제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