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G7 업은’ 스가 총리, 도쿄올림픽 1만 관중 강행 의지


입력 2021.06.20 07:33 수정 2021.06.20 07:34        김태훈 기자 (ktwsc28@dailian.co.kr)

오는 21일 IOC-조직위원회 등과 5자회담서 관중 상한선 결정

조직위 '1만 명 유관중' 방침 계획..관중용 가이드라인 작업 착수

일본 스가 총리. ⓒ 뉴시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의 지지를 이끌어낸 일본 정부가 유관중 올림픽 개최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는 21일 도쿄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와 5자 회담을 열고 관중 상한선을 공식 결정한다.


도쿄올림픽 관중 상한선은 1만 명이 유력하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지난 13일 영국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폐막 후 동행 기자단에 도쿄올림픽 관중 상한에 대해 “다른 스포츠 이벤트의 인원수 상한에 준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올림픽 연기-취소 여론에 밀려 “감염 확산을 막는 게 최우선”이라며 한 발 물러서는 듯했던 스가 총리는 G7 정상들의 지지를 업고 ‘유관중’ 카드까지 꺼내며 정면돌파를 예고했다.


하시모토 세이코 올림픽 조직위 회장도 G7 정상회담 이후 가진 일본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관중 상한을 1만 명까지 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중들은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한다. 큰소리로 응원할 수도 없다”며 며칠 내 가이드라인을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도쿄올림픽의 예정된 개최는 물론 1만 명을 상한으로 하는 유관중 방침을 공표한 셈이다.


일본 내 감염 대책 전문가는 현 상황을 ‘제2차 세계대전’에 비유하며 “정부가 무책임하다. 개최를 하더라도 무관중으로 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일본 내 도쿄올림픽 연기 또는 취소 여론 역시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일본 정부가 관중 수용 의지를 꺾지 않는 이유는 역시 천문학적인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올림픽 흥행을 포장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신종 코로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신규 감염자 수가 일 1500명 안팎으로 감소세를 띠자 도쿄도 등에 내려진 긴급사태선언을 예정대로 20일 해제, 21일부터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 방지 등 중점 조치’를 다음달 11일까지 실시한다.

김태훈 기자 (ktwsc2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