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폭염·호우에 코로나까지…외식업계 “연착륙 방안 마련 시급”


입력 2021.07.22 06:22 수정 2021.07.21 15:28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4단계 격상까지 최악 상황…“기약없는 생존위기 내몰려”

부채 해소 방법 부재…“코로나 종식후 대비책 필요”

강원도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의 인근 식당에서 거리두기 4단계 출입인원을 알리고 있다.ⓒ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외식업 종사자들이 벼랑 끝 위기에 몰렸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호우에 거리두기 4단계 격상까지 맞물리며 사상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다.


정부는 손실보상금을 긴급 수혈할 예정이다. 하지만 감당이 어려울 정도로 팽창한 자영업자들의 부채를 해소할 근본적 대책은 마련되지 않아 극약처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뒤따른다.


22일 한국외식업중앙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의 직격탄을 맞은 국내 식당들은 지난 한 해 평균 1000만원 가량 대출 빚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식당 10곳 중 8곳은 매출이 줄었고, 6곳 정도는 폐업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빚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사태로 현금창출력이 나빠지자 원재료 구매와 직원 급여, 이자비용을 비롯한 운영자금을 빚으로 충당한 결과로 분석된다. 영업여건이 팍팍해지면서 빚으로 연명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야간 봉쇄 수준인 4단계로 높아지면서 거리에 사람들의 발길이 뚝 끊겼고, 마진이 큰 저녁 주류 판매를 사실상 하지 못하게 되면서 수익성마저 악화된 탓이다.


설상가상 연이은 폭염과 호우, 재택근무까지 발목을 잡고 있다. 외출을 삼가고 집콕을 장기화 함에 따라 며칠 사이 간간히 보이던 단골 손님마저 뚝 끊겼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여기에 연초부터 주요 식재료 가격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식탁 물가’ 역시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그렇다고 폐업도 쉽지 않다. 이른바 ‘빚 족쇄’ 때문이다. 밀린 월세 때문에 보증금은 물론,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권리금도 받기 어렵다는 이유도 크다. 카드 결제 단말기 위약금과 인테리어 원상복구 비용 등 부담이 큰 데다 폐업 후 뾰족한 대안 역시 부재한다.


서울시 금천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조모(50대)씨는 “혹자는 내게 코로나로 그렇게 어려우면 폐업을 하고 나가서 다른 일을 구하라고 한다. 정말 답답한 소리”라며 “퇴직금 털어 식당에 올인했는데, 이 나이에 어딜 가서 다른 일을 다시 구하겠나. 노후 대안이 없어 접는 것도 쉽지 않다. 그저 좋아지겠지 라는 마음으로 버티는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서울 중구 명동에서 폐업 등으로 영업을 하지 않아 대부분 불꺼진 상점 거리가 황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뉴시스

정부는 ‘사면초가’ 위기에 처한 자영업자를 구하기 위해 손실보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하지만 고스란히 건물주와 금융권으로 들어가 한 푼도 손에 쥘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는 게 자영업자들의 하소연이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금리와 대출 만기 시점이다. 이미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지난 1년 6개월 새 1%포인트 가까이 오른 데다 향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까지 인상하면 생존 위기에 몰린 자영업자들에 치명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다만,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2주째 1000명대를 넘어서면서 오는 9월 말 종료되는 소상공인 대출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또 한번 연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코로나가 진정되면 자영업자의 진짜 위기가 닥칠 것이란 부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가려졌던 부실이 한 꺼번에 드러나면서 상환 능력이 취약한 자영업자들은 곧바로 파산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이들을 연착륙시킬 것인지 정부가 충분히 의논해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 은평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장모(50대)씨는 “향후 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는 만큼, 유예 조치 연장은 오히려 차주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재난지원금도 중요하지만, 금리가 인상되기 전에 조금씩 갚아나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