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북한 겨울철 식량난 우려 고조…통일부 "인도협력 검토"


입력 2021.12.07 04:30 수정 2021.12.06 22:57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만성적 식량난과 국경봉쇄 장기화

맞물려 식량난 악화 가능성

김정은, 지난 6월 식량난 인정

이달 초엔 "농업 분야 커다란 성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수해 복구 현장을 현지지도하는 모습 ⓒ조선중앙TV

코로나19 장기화로 북한 국경봉쇄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겨울철 식량난 심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6월 "식량 형편이 긴장해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달 초에는 농업 부문에서 "커다란 성과를 이룩했다"고 자평했다. 실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은 올해 북한 곡물 생산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2년가량 이어져 온 국경봉쇄 여파로 누적된 식량 문제를 자체 극복하기는 쉽지 않을 거란 관측이다. 실제로 국가정보원은 지난 10월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김 위원장이 식량난과 관련해 "살얼음을 걷는 심정이고, 낱알 한 톨까지 확보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지난 7월 이후 해로 교역을 일부 확대하고 철도 교역 재개 움직임까지 보였지만, 연이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워싱턴포스트는 5일(현지시각) '긴장된(tense) 겨울로 접어든 북한-국경폐쇄와 식량 공급 문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겨울철이면 만성적 식량 부족에 시달려온 북한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국경봉쇄 영향으로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가 지난 2일 공개한 '작물 전망과 식량 상황(Crop Prospects and Food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44개국 중 하나로 꼽혔다.


FAO는 북한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외부 수입을 통해 충당했어야 할 식량 부족분을 106만 3000t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방역을 명분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내려진 각종 통제 조치가 식량안보 취약성을 더욱 키우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이동제한 조치 등으로 주민 경제활동이 제약돼 필수 농산물은 물론 인도적 지원물자 등을 들여오는 데도 차질을 빚었다는 의미다.


정부는 북한의 올해 작황, 일부 곡물 가격 변동성 확대 등 북한 식량 상황에 대한 종합적 점검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만성적으로 매년 100만t 내외의 식량 부족 상황이 계속돼오고 있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국경봉쇄가 장기화되고 있어 해외 도입(수입) 등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기구들이 진행해오고 있는 각종 인도적 협력(지원) 사업들도 일부 차질을 빚고 있어 이러한 점들이 전반적으로 북한 식량 상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북한의 곡물 가격, 각종 식료품을 포함한 생필품 물가 등에 관한 여러 보도들도 이어지고 있다"며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한계는 있지만, 국경봉쇄 상황 등이 장기화되며 전반적으로 식료품·생필품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일부 품목의 경우, 가격 상승이 가파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부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북한 식량 상황에 대해 판단해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다만 "올해 북한 곡물 작황과 관련해 전반적 기상 여건이 예년보다 좋았다"며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는 평가들이 많이 있다. 올해 작황에 대한 전반적 평가 등까지 마무리한 이후 종합적으로 올해의 식량 상황 등을 평가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북한의 식량 부족 상황은 만성적 상태에 있고 여러 가지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관련돼있다"며 "정부로서는 북한 식량 상황에 대해 늘 예의주시하며 인도적 협력(지원) 필요성에 대한 검토도 같이해오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