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北도 베이징 올림픽 불참 확정…文 방중 가능성 희박해져


입력 2022.01.07 10:28 수정 2022.01.07 14:28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美 동맹국과 외교적 보이콧·北 불참 공식화

외교적 실익 無에 文 등판도 어렵다는 전망

1월 말 한중 화상정상회담서 시진핑 '입' 주목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1월 17일 오후 파푸아뉴기니 스텐리 호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악수를 하고 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북한도 올림픽 불참을 7일 공식 발표하면서다. 다만 한중 정상회담이 이달 말 개최될 것으로 보여, 문 대통령의 방중(訪中)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는 이날까지도 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 여부와 한중 화상 정상회담 등 중국 관련 일정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고, 북한의 대화 복귀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조기 가동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하지만 북한이 베이징 올림픽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베이징 올림픽을 남북관계 개선의 한 계기로 삼으려던 문 대통령의 구상은 사실상 무산됐다는 해석이 대체적이다. 종전선언 당사국인 미국은 이미 호주 등 주요 동맹국과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바 있어, 문 대통령이 직접 중국에 가더라도 거둘 수 있는 외교적 실익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문 대통령이 외교적 보이콧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만큼, 정부의 고위급 인사가 파견될 가능성은 크다. 중국도 2019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시진핑 주석이 아닌 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바 있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측이 편한 대로 결정해서 오시면 저희는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입장이 난처한 한국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의 올림픽 불참에 무게가 실리면서, 한중 화상 정상회담에 시선이 쏠린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이 문 대통령에 베이징 올림픽 초청장을 내밀 수도 있다.


우선 청와대는 이달 말 개최가 유력한 한중 화상 정상회담 준비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서는 요소수 등 공급망 문제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한한령' 해제가 회담의 주요 의제로 예상된다. 중국은 2016년 7월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반발하며 한국의 드라마, 영화, 광고, 게임 등의 수입 및 방영을 막은 바 있다. 이 상황에서 중국은 최근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6년 만에 상영했는데, 한중 화상 정상회담 일정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최근 한 방송에서 "조금 더 시간을 갖고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개회식) 막바지에 가서 (참석 여부를) 결정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베이징 올림픽과 관련해 말씀드렸던 내용(참석 여부 미정)이 계속 유효하다"고 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