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 개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과 관련해 “민간 일자리가 크게 확대되고 청년층·상용직 중심의 뚜렷한 개선세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내외 상황이 고용지표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고용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 대응방향 등을 논의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03만7000명 늘어나며 1월 113만5000명 증가에 이어 2개월 연속 100만명 이상 늘었다.
홍 부총리는 “취업자수·고용률·실업률 등 총량 측면에서 모든 지표 개선세가 시현됐다”며 “지난해 1월 98만2000명 감소, 2월 47만3000명 감소 등 기저영향을 감안해도 고용상황이 뚜렷하게 개선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전일제, 상용직 등이 고용을 견인하는 등 질적 측면에서도 개선세가 뚜렷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방역 조치로 도소매업, 일용직 등 코로나19 피해업종·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고용시장 상황에 추가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봤다.
이에 대해 홍 부총리는 “최근 코로나 확산세 및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며 “민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확충하기 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정부는 민간주도 일자리 회복이 지속·강화되도록 신산업 육성, 미래인재 양성, 청년층 고용여건 개선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국민 고용보험 가입을 위해 하반기 특수고용직 중 미가입 직종을 추가하고, 국민취업지원제도 서비스 내실화와 유통배송·택배기사 산재보험 적용대상 확대 등 고용안전망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60대 이상 인구가 2월에만 59만명이 증가하는 등 고령화 추세에 대응해 고령자 취업지원 대책도 차질없이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