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다주택자 매물 증가 영향…0.01% 상승
특별법 기대감에 1기 신도시는 10주 연속 상승
윤석열 정부 출범과 동시에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가 1년 유예되면서 주택 매도 물량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이로 인해 아파트값 상승폭도 축소됐다.
1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0.03%) 대비 상승폭이 다소 축소되며 0.01% 올랐다. 재건축이 보합(0.00%)을 나타냈고 일반아파트는 0.01% 상승했다. 신도시는 0.00%, 경기ㆍ인천은 -0.02%를 기록했다.
서울은 재건축 추진 기대감에 광진, 용산 일대 노후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광진(0.06%) ▲용산(0.05%) ▲강남(0.04%) ▲동대문(0.04%) ▲관악(0.03%) ▲구로(0.03%) 순으로 올랐다.
반면 매물 증가에도 수요가 받쳐주지 못하면서 ▲도봉(-0.04%) ▲노원(-0.02%) ▲양천(-0.01%) ▲성동(-0.01%) ▲서대문(-0.01%) 일대는 하락했다.
신도시는 1기 신도시 일대의 상승세가 여전히 두드러졌지만 특별법이 중장기 추진과제로 제시되면서 일부 실망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일산(0.08%) ▲산본(0.01%) 등이 상승했지만 ▲동탄(-0.05%) ▲평촌(-0.02%) ▲분당(-0.01%) 등은 떨어졌다.
경기ㆍ인천은 ▲파주(0.06%) ▲이천(0.04%) ▲남양주(0.03%) ▲안산(0.01%) ▲의왕(0.01%) 순으로 올랐다. 반면 ▲화성(-0.08%) ▲용인(-0.05%) ▲수원(-0.05%) ▲성남(-0.04%) 등은 떨어졌다.
전세시장은 서울과 신도시 모두 보합(0.00%)을 나타냈고, 경기ㆍ인천은 0.01% 떨어졌다.
서울은 임대차3법 시행 2년을 앞둔 임차인들의 움직임에 따라 지역 별 변동률이 달랐다. ▲양천(0.16%) ▲서대문(0.11%) ▲종로(0.07%) ▲관악(0.06%) ▲성동(0.03%) 순으로 올랐다. 양천은 목동 한신청구,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4단지가 2,500만원-3,500만원 상승했다. 반면 ▲강동(-0.22%) ▲용산(-0.13%) ▲동대문(-0.07%) 순으로 하락했다.
신도시는 ▲일산(0.10%) ▲분당(0.04%) 등이 오른 반면 ▲동탄(-0.16%) ▲위례(-0.02%) ▲평촌(-0.02%) 등은 떨어졌다.
경기ㆍ인천은 ▲성남(0.14%) ▲군포(0.08%) ▲남양주(0.07%) ▲평택(0.07%) ▲김포(0.06%) 순으로 올랐다. 반면 ▲화성(-0.13%) ▲수원(-0.07%) ▲안양(-0.04%) ▲인천(-0.04%) 등은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