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우조선, '3D 프린팅' 기술로 모형선 제작 성공


입력 2022.05.24 11:49 수정 2022.05.24 11:49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3D프린터 전문기업과 복합 플라스틱 소재 모형선 시제품 제작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제작된 모형선ⓒ대우조선

대우조선이 선박 모형 시험 분야에서 ‘3D 프린팅’이라는 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등 차별화된 기술을 선보였다.


대우조선해양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3D프린터 전문기업 잉거솔(Ingersoll Machine Tools)과 손 잡고 복합 플라스틱 소재(ABS) 10m급 시험용 쌍축(Twin Skeg)선 모형을 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조선소에서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배의 모양을 그대로 축소한 모형선을 만들어 대형 수조에서 선박의 성능을 미리 시험해 본다. 지금까지 이러한 모형 시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모형선은 나무로 제작돼 왔다.


대우조선은 업계 최초로 3D프린팅 기술(재료압출방식, FDM)을 적용해 목재가 아닌 복합 플라스틱 소재의 모형 선박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3D프린팅 기법을 적용하면 기존 3주가 소요되던 모형선 제작 기간을 최대 40%까지 단축할 수 있다. 또 고객의 갑작스러운 실험 요구에도 좀 더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모형선은 목재가 아닌 복합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방수성이 우수하고, 테스트를 마친 모형선은 일부 소재를 회수해 다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시제품 제작을 맡은 잉거솔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이탈리아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형 3D프린터 전문 기업으로 현재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특히, 잉거솔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최대 복합소재 전시회(JEC World 2022)에 참가해 이번 모형 선박 제작 과정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잉거솔 관계자는 “대우조선과의 이번 협업은 국제수조회의(ITTC)를 비롯한 업계 전반에 3D프린팅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혁신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동규 대우조선 중앙연구원장 전무도 “대우조선은 디지털화(Digitalization)라는 혁신 화두를 제품과 조선소 현장, 연구개발의 전 부분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성과 역시 그 성공 사례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대우조선은 이번 시제품 모형선의 검증작업을 시흥R&D캠퍼스 내 연구시설에서 최종적으로 마무리하고, 추후 3D프린팅 장비 도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