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선박 효과 ‘톡톡’…5월 점유율 48%
韓, 1~5월 누계수주량도 中 4년 만에 제쳐
한국 조선업계가 5월 전세계 선박 절반을 싹쓸이하며, 중국을 제치고 1위로 우뚝 섰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5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 57척, 250만CCT(표준화물선환산톤수) 중 한국이 20척, 120만CGT를 수주해 전세계 수주량 48%를 점유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22척, 84만CGT를 수주하며 점유율 34%를 차지했다. 지난 달만해도 중국에 뒤쳐졌으나 LNG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수주에 힘입어 1위를 탈환했다.
올해 1~5월 누계 수주량 부문에서도 한국이 148척, 734만CGT를 수주하며 2018년 이후 4년 만에 중국을 앞섰다. 중국은 247척, 716만CGT를 기록했다.
전세계 수주잔량 9853만CGT 중 한국의 점유율은 34%였다. 중국은 4158만CGT로 42%를 차지하며 크게 앞섰고, 일본은 95만CGT로 10%를 점유하는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한국과 중국은 각각 29%(756만CGT), 20%(691만CT)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일본은 12% 감소한 수치다.
한편, 5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60.07포인트로, 2020년 12월 이후 18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3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달 대비 선종별 선가는 LNG선(17만4000m³)은 2억2400만 달러에서 2억2700만 달러,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은 1억5250만 달러에서 1억5400만 달러 상승했다.
초대형 유조선은 1억1600만 달러에서 1억1700만 달러, S-max 유조선은 7800만 달러에서7900만 달러 등 모든 선종에 걸쳐 선가가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