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제전문가 절반 “윤석열 정부서 기업 규제환경 개선될 것”


입력 2022.06.14 12:00 수정 2022.06.14 11:37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응답자의 68.5%, 새 정부에서 기업 규제환경 ‘개선’ 전망

새 정부 규제환경 전망 이유 ⓒ한국경영자총협회

국내 전문가들 대부분이 윤석열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기업 규제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새 정부 규제개혁 정책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8.5%가 새 정부에서 기업의 규제환경이 ‘개선될 것’이라 응답했다고 14일 밝혔다. 규제환경이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7.5%에 불과했다.


향후 규제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 이유로는 응답자 61.3%가 ‘대통령의 강력한 규제개혁 의지’를 지목했으며, 그 다음으로 ‘시장친화적 전문가 내각 인선’을 선택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선진국 수준으로 규제를 폐지‧정비하는 ‘기준국가제’ 도입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과반수(51.5%)가 찬성으로 응답했다.


글로벌 스탠다드에 비해 과도한 규제에 대해서는 ‘상속세’(49.5%), ‘중대재해처벌법’(37.0%), ‘근로시간제도’(34.5%)를 지목했다.


또한 응답자의 67.5%는 규제개혁 총괄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총괄기구 소속은 ‘대통령 직속’(57.0%)으로, 조직 구성은 ‘민관합동 독립기구’(48.9%)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현 규제개혁위원회 같은 추진 체계가 있음에도 규제개혁 총괄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과반을 넘어 규제개혁 총괄기구의 조직 개편과 전문성 및 역할 강화가 필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규제개혁 성공을 위한 새 정부의 핵심 과제로는 응답자 73%가 규제의 큰 틀 ▲원칙 허용 ▲예외 금지의 네거티브 규제 패러다임 전환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규제 관련 이해갈등 조정시스템 마련’ (41.0%), ‘중장기 규제개혁 계획 수립‧추진 및 점검’(40.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류기정 전무는 “새 정부에 대한 전문가들의 기대도 높은 만큼 정부가 강력하고 체계적인 규제개혁 정책을 새롭게 추진해 산업과 국가경쟁력 제고로 규제개혁에 성공한 정부가 되길 바란다”며 “정권 초기 강력한 규제개혁 의지를 지속 유지하는 것이 관건으로, 규제개혁 총괄기구 신설로 덩어리 규제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