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기능성원료 생산기반 구축
차질없는 원료 공급 가능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영재, 이하 식품진흥원)은 기능성식품 원료의 생산・보관・공급을 위한 ‘기능성원료은행’ 착공식을 전북 익산시 소재 국가식품클러스터에서 17일 연다.
이날 행사에는 김상경 농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장, 조봉업 전라북도 행정부지사, 정헌율 익산시장, 김영재 식품진흥원 이사장, 홍대광 하림푸드 대표, 이형진 위바이옴 대표이사 등 50여명이 참석한다.
이번에 조성되는 기능성원료은행은 국산 농산물에서 유래한 기능성원료를 생산하고 보관・분양하기 위한 기반을 갖춘 시설이다. 총사업비 150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872.49㎡,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2024년 2월 준공 예정이다.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대한 관심 증가, 급격한 고령화 등으로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다.
또 2020년 12월 시행된 일반식품의 기능성표시제도와 관련해 아직 초기 시장 형성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4월까지 67개 사에서 298건 기능성표시식품 등록이 이뤄지는 등 기업 및 소비자들 관심이 큰 상황이다.
그러나 기능성식품 시장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진 해외 수입원료가 주를 차지하는 등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기능성원료은행을 구축해 기업이 안정적으로 국산 기능성원료를 공급받도록 관련 기반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기능성 원료의 국산화를 도모하고 국산농산물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김상경 농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장은 “기능성원료은행을 통해 국산 농산물 유래 기능성 원료의 생산・보급이 원활해지고 국산 농산물의 우수함이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한다”며 “기능성식품산업 활성화를 통한 식품산업 성장뿐 아니라 농산물 고부가가치화로 농가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