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영향
수도권 매매·전세 14주 연속 동반 하락
급격한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영향으로 수요가 위축되며 매매거래가 사실상 실종된 분위기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공개된 7월 아파트 거래량은 641건으로 25개구 각각에서 50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거래량을 기록했다.
예를 들어 서울 25개구 중 7월 아파트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로 49건에 불과했다. 이는 강남구 재고아파트(약 12만가구)와 개업공인중개사(약 3000곳)를 감안하면 거래 절벽 수준이 아닌 거래 실종 수준이다.
아직 신고 기간이 남아있는 8월의 거래량도 521건으로 별반 다르지 않다. 이처럼 시세 대비 정말 싼 급급매만 간간이 거래되는 만큼 작금의 하락세는 금리 인상 이슈와 맞물리며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1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1% 떨어져 일주일 전과 낙폭이 동일했다. 재건축이 보합(0.00%)을 나타냈고, 일반 아파트는 0.02% 떨어졌다. 서울 외 지역은 하락폭이 더 커졌다. 신도시는 -0.03% 기록했고, 경기·인천은 0.05% 하락했다.
서울은 25개구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했고 상승한 지역은 없었다. 다만 강남권 보다는 비강남권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금천(-0.11%) ▲강서(-0.07%) ▲서대문(-0.07%) ▲관악(-0.05%) ▲구로(-0.05%) ▲노원(-0.03%) ▲강남(-0.02%) ▲성북(-0.02%) ▲은평(-0.02%) 등이 떨어졌다.
신도시도 서울과 마찬가지로 상승 지역은 없었고 상대적으로 1기 신도시의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분당(-0.09%) ▲평촌(-0.08%) ▲판교(-0.02%) ▲파주운정(-0.02%) ▲동탄(-0.01%) 순으로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고양(-0.14%) ▲광주(-0.14%) ▲인천(-0.13%) ▲성남(-0.12%) ▲안양(-0.10%) ▲남양주(-0.03%) ▲용인(-0.03%) 등이 떨어졌다.
전세시장은 매매 가격 하락에 따른 심리 위축 영향과 높아진 대출 이자 부담에 따른 월세 시장 이탈 현상이 지속됐다. 서울이 0.02%, 신도시가 0.05%, 경기·인천이 0.07% 떨어졌다.
서울은 ▲금천(-0.18%) ▲구로(-0.13%) ▲용산(-0.07%) ▲강동(-0.05%) ▲관악(-0.04%) ▲광진(-0.04%) ▲성북(-0.03%) 순으로 떨어졌다.
신도시는 ▲평촌(-0.21%) ▲분당(-0.10%) ▲위례(-0.06%) ▲파주운정(-0.05%) ▲중동(-0.02%) ▲일산(-0.01%) 등에서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성남(-0.25%) ▲인천(-0.20%) ▲광주(-0.14%) ▲부천(-0.13%) ▲고양(-0.11%) ▲남양주(-0.05%) ▲양주(-0.05%) ▲의정부(-0.04%) 등이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