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과 평양공동선언 직후 친서서 밝혀
文 "北, 남북 비핵화 긴밀 협력 말해"
김정은 속내 '남한 배제' 그대로였던 셈
판문점 남북미 회동 후엔 "기분 상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를 통해 비핵화 논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배제되길 원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25일 한미클럽이 발행하는 외교·안보 전문 계간이 한미저널이 공개한 김 위원장과 트럼프 전 대통령 사이 주고받은 친서에서 확인됐다. 공개된 친서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이 있었던 2018년 4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27통이다.
김 의원장은 2018년 9월 21일 친서에서 "저는 향후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아니라 각하와 직접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논의하길 희망한다"며 "지금 문 대통령이 우리의 문제에 대해 표출하고 있는 과도한 관심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는 문 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해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지 불과 이틀 만의 일이었다. 문 전 대통령은 "북미대화 진전이 남북관계 발전과 긴밀히 연계된다는 사실에 인식을 다시 하게 되면서 향후 우리에게 북미대화 중재를 요청하는 한편 완전 비핵화를 위해 긴밀 협력할 것을 말했다"고 밝혔지만, 김 위원장의 속내는 달랐던 셈이다.
또한 김 위원장은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 등 관료들을 관여 없이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탑다운' 방식의 담판을 선호했다는 점도 친서에서 드러났다.
김 위원장은 폼페이오 전 장관의 방북이 취소된 직후는 2018년 9월 6일 친서에서 "각하의 의중을 충실히 대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어려운 폼페오 장관과 우리 양측을 갈라놓는 사안에 대해 설전을 벌이기보다는 탁월한 정치 감각을 타고난 각하를 직접 만나 비핵화를 포함한 중요 현안들에 관해 심층적으로 의견을 교환함이 더 건설적"이라고 제안했다.
2019년 8월 5일 판문점 남북미 회동 후에는 불쾌감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나는 분명히 기분이 상했고, 이를 각하에게 숨기고 싶지 않다"며 "분명히 나는 정말로 기분이 상했다"고 했다.
특히 한미연합연습이 계속되는 데 대해 "각하께서 해준 것은 무엇이냐"며 "각하께서 우리의 관계를 오직 자신에게만 득이 되는 디딤돌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면, 나를 '주기만 하고 아무런 반대급부도 받지 못하는' 바보처럼 보이도록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