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카드사들이 기주금리 인상과 조달비용 가중 등으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신용등급이 낮은 금융 취약계층의 대출 문턱을 더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7개 전업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가 개인 신용평점 700점 이하의 고객에게 내준 카드론 신규 취급액은 모두 11조7212억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 같은 기간 12조5864억원과 비교하면 약 8652억원(6.87%) 감소했다.
카드사별로 보면 하나카드가 약 45% 감소율을 보이며 가장 크게 쪼그라들었다. 지난 2021년 1조1744억원을 내준 것과 달리 지난해는 6481억원에 그쳤다. 이어 현대카드가 1조3614억원에서 1조1132억원으로 18% 감소율을 보였다. 삼성카드는 1조8394억원에서 1조7576억원으로 4.4% 줄었고, 우리카드는 5835억원에서 5576억원으로 4.4% 감소율을 보였다. 신한카드의 경우 4조7680억원에서 4조5980억원으로 3.6% 감소했다.
반면, KB국민카드의 지난해 저신용 차주 카드론 신규 취급액은 1조7176억원으로 1년 전 1조5652억원보다 9.8% 늘었다. 롯데카드도 같은 기간 1조2945억원에서 1조3291억원으로 2.7% 늘었다.
카드사 7곳의 저신용자 대상 카드론 총 신규 취급액은 지난해 1분기 ▲3조4525억원 ▲2분기 3조4646억원 ▲3분기 2조8292억원 ▲4분기 1조9749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금융 취약계층이 자금을 더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시중은행에서 자금줄이 막힌 취약차주들이 카드론까지 막히게 되면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경영 환경 등 여러가지 여건을 고려해 볼 때 당분간 이런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