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MWC 2023] SKT,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서 2관왕


입력 2023.03.01 11:26 수정 2023.03.01 11:26        남궁경 기자 (nkk0208@dailian.co.kr)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에 위치 측위 AI 기술

AI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 등 사회적 가치 창출 인정

SK텔레콤 관계자들이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서 수상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SKT

SK텔레콤은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GLOMO) 2023'에서 측위 AI 기술 ‘VLAM’을 적용한 고정밀 위치 기반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G-EYE 플러스’와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로 2개 부문 수상에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LBS테크·사피온 코리아와 함께 ICT를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를 돕는 ESG 관련 기술이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성·포용성 위한 최고의 모바일 사용 사례 부문에서 수상했다.


양사는 기존의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이 대부분 GPS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해 정확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 착안, 로봇 자율주행, 스마트 글라스, 디지털 트윈 등을 위해 개발한 VLAM 기술을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에 적용해 정밀한 위치 측위로 실효성 있는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G-EYE 플러스’를 개발했다.


G-EYE 플러스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카메라 버튼을 누르고 반바퀴만 돌리면 평균 1m 오차로 현재 사용자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 사용자는 G-EYE 플러스를 사용함으로써 건물 인근이 아닌 출입문 또는 진입로 바로 앞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SK텔레콤이 수상한 분야는 ‘도시를 위한 최고의 모바일 혁신 사례(Best Mobile Innovation for Cities)’로, ICT를 바탕으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기술이나 서비스에 주어지는 상이다.


SK텔레콤의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는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 상태 및 수단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리트머스를 통해 향후 ▲네트워크 자원 불균형 해소 ▲교통 및 환경 문제 해소 ▲도시 안전 확보 ▲미래 도시 교통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지난 2022년 세종시에서 발주한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검증사업을 수주했고, 올해 초에는 서초구 디지털 트윈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향후 통신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차량 중심 서비스에서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보행자 및 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 주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도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들과 데이터 기반 도시계획 사업을 협업해 AI 기술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번 수상으로 ‘접근성·포용성 위한 최고의 모바일 사용 사례‘ 부문에서 4년 연속 수상에 성공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인정받게 됐다. 이들은 지난 2020년에는 소셜 벤처 ‘코액터스’와 청각장애 택시기사 보조앱인 ‘고요한 택시’로, 2021년에는 5G MEC 기반의 증강현실(AR) 서비스 ‘창덕아리랑’으로, 지난해에는 시각보조 서비스 ‘설리번플러스 x NUGU’로 해당 부문에서 상을 받은 바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SK텔레콤의 AI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가 글로벌 사업자들에게 인정받아 기쁘다”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AI 기술을 토대로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계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020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남궁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