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늘 출발 가능성"…김정은, 푸틴과 손잡나


입력 2023.09.11 11:20 수정 2023.09.13 10:15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블라디보스토크서 개최되는

포럼 참석 계기 정상회담 가능성

동선 노출 꺼리는 北 특성상

추후 방러할 거란 관측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주북한러시아대사관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4월 이후 4년 반 만에 다시 만날 가능성이 거듭 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할 포탄 등 북한의 살상무기 지원을 기대하는 러시아와 위성 및 핵추진잠수함 등 러시아의 첨단기술 이전을 바라는 북한이 정상 수준에서 '주고받기식 협력'을 구체화할지 주목된다.


11일 북한 주요매체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평양에서 정권수립 75주년(9·9절) 기념행사에 참석했던 주민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9·9절 기념 열병식을 포함해 관련 경축행사가 마무리되는 10일께 김 위원장이 전용열차나 전용기에 몸을 실어 러시아로 향할 거란 관측이 무성했지만, 관련 동향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북한 정권수립 75주년(9월 9일) 기념 민방위무력열병식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전했다. ⓒ조선중앙통신

앞서 미국 정보당국은 김 위원장이 지난 10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동방경제포럼(EEF) 참석을 계기로 북러 정상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출발 시점 및 북러 정상회담 일정 등에 대해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이날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해 현지 일정을 소화한 뒤, 오는 12일 EEF 본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 역시 이날 중으로 러시아로 출발해 EEF 계기 북러 정상회담을 가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의 뉴스네트워크 JNN에 따르면, 북한 시찰단으로 추정되는 인사들은 전날 북러 접경지인 연해주 하산역을 방문했다. 김 위원장의 전용열차 운행에 앞서 최종 점검이 이뤄졌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본 NHK는 연해주 지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김 위원장이 전용열차로 11일에 출발할 듯하다"고 전하기도 했다.


북러는 아직까지 김 위원장 일정을 공식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찾아 푸틴 대통령을 만났던 지난 2019년에는 정상회담 6일 전 러시아 측이 관련 일정을 공개한 바 있다.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EEF 종료 후, 푸틴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동선 노출을 극도로 꺼리는 북한 최고지도자 특성상 미국이 예고한 날짜에 이동을 삼갈 수 있다는 관측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조선중앙통신
정부 "김정은, 러시아 방문 가능성"


정부는 김 위원장 방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방러 동향과 관련해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하게 지켜보고 있다"면서도 "정보 사항인 만큼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드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며 "만약 방문하게 되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러관계가 한반도 평화·안정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구 대변인은 "정부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북러 간 군사협력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양국 간 협력이 국제규범과 한반도 평화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에 대한 북한의 무기 지원이 국제법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위배된다는 점을 부각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같은 맥락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대표단으로 인도 뉴델리를 방문 중인 박진 외교장관은 10일(현지시각)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을 만나 "한반도 문제 관련 북러관계가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는 가운데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