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1000개 넘게 줄어
상반기 공채 1년 새 '반토막'
은행권의 영업점과 자동화기기(ATM) 축소 흐름이 날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디지털 금융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하지만 오프라인 지점을 방문해야 이뤄지는 은행 업무도 있는 만큼 소비자들의 불편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와중 신입 채용에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비용 절감을 위한 금융사들의 몸집 줄이기는 더욱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20개 전체 은행권의 점포 수는 5755개로 1년 전 보다 52개 줄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같은 기간 영업 점포를 59개 축소했다. 이어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10개, 한국씨티은행 7개, NH농협은행 5개 순이었다.
2018년 말 이후 해마다 300여개의 점포를 줄였던 추세를 감안하면 지난해 폐쇄된 점포 수는 비교적 적은 규모다. 이는 금융당국이 지난해 4월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내놓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위는 점포 폐쇄로 인한 금융소비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영업점포 폐쇄를 결정하기에 앞서 대체 점포를 마련토록 했고, 기존 연 1회 실시 중인 점포 폐쇄 관련 경영공시가 연 4회로 확대됐다.
그러나 금융권은 은행 점포 축소 속도는 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 2018년 말 6771개였던 은행 점포 수는 해마다 300여개씩 줄며 지난해 말까지 1016개가 감소했다.
특히 전체 은행권 중 몸집이 가장 큰 4대 은행의 점포 축소가 가파르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5년 사이 260개의 점포를 줄이며 전체 은행권 중 가장 많은 지점을 폐쇄했다. 이어 ▲우리은행(166개) ▲하나은행(156개) ▲신한은행(155개) 순으로 문을 닫았다.
이런 와중 ATM 기기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전체 은행권의 ATM 기기는 2018년 말 3만8335대에서 지난해 말 2만7861대로 5년 새 1만474대가 없어졌다.
비대면 금융 확대로 영업점포를 없애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항변과 무색하게 이를 대체할 ATM기기도 없애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도서·산간 및 지방에 거주하는 금융 취약계층 등 고령층의 은행업무 접근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와중 은행권은 신입 행원 채용에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몸집 줄이기에 안간힘이다. 금융권에선 특히 올해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보상금 규모가 수 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의 올해 상반기 채용 규모는 총 43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1000명 채용에 비해 57%나 줄며 반 토막이 났다. 아직 채용 규모를 정하지 못한 국민은행의 경우 ELS 관련 배상금이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비정규직 비중은 오히려 늘리는 추세다. 4대 은행의 직원 중 비정규직인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지난해 말 5008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13명이 늘었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 수는 5만1392명으로 2022년 말 보다 1082명이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는 디지털 금융 확대로 점포 축소 추세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에 따라 영업 점포 축소되는 불가피하다”며 “시니어 고객을 위한 특화 점포 등 은행권에서도 점포와 비대면 채널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멀티채널 전략을 수립하는 등 여러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통 은행들이 과거처럼 대규모 채용을 하기에는 금융 시장의 변화를 쫓아가기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들이 공채를 통한 일괄·대량 채용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며 “직무특성에 따른 채용, 수시채용 확대 등 유연성 있는 채용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등 채용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