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회 열고 장기 성장전략 제시 당부
행동주의 관련 공시체계 개선 등 논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행동주의 펀드들의 무리한 주주환원 요구가 자본시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장기 성장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쓴소리를 했다.
이복현 원장은 1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기업과 주주행동주의의 상생·발전을 위한 간담회’에서 “단기수익만을 추구하는 무리한 요구가 기업의 장기 성장동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자본시장 발전에도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감독당국이 주주행동주의에 대해 균형감 있는 시각을 견지하기 위해 각계의 의견을 직접 들어보고 기업과 주주, 투자자가 함께 상생·발전할 수 있는 자본시장의 선순환 구조 형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트러스톤·KCGI·안다·얼라인·차파트너스 등 행동주의 펀드를 비롯해 기업, 시장전문가 등 총 18명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이 자리에서 올 주총 결과를 지적하며 행동주의 전략이 탄탄하지 못하면 주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공허한 캠페인으로 끝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정기주총 주주제안 93건 중 가결된 안건은 주주환원 2건과 이사선임 안건 등 26건으로 가결율은 30%에 그쳤다.
이 원장은 기업에는 주주가치 제고와 건전한 기업지배구조 형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주주들과도 적극 공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주행동주의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 등 다양한 활동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소통의 중요성 강조 차원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과 행동주의 펀드들은 각자 애로사항을 설명하면서도 기업가치 제고 측면에서는 이해관계가 일치함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행동주의 활동이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도록 공시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 원장은 “앞으로 주주행동주의 활동과 기업의 대응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속 살펴보겠다”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주주는 그 이익을 다시 기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