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부터 DX·DS부문별로 글로벌 전략회의 개최
HBM 선두 지위 탈환 및 AI폰 흥행 방안 논의 전망
삼성전자가 18일(오늘)부터 사업부문별로 잇달아 전략회의를 열고 상반기 사업 점검 및 하반기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최근 삼성전자는 임원 주 6일 근무제 시행, 네트워크 사업부 사업재편 등으로 비상경영을 확대하고 있다. 임금협상을 둘러싸고 노사 갈등마저 심화되면서 몸살을 앓고 있다. 이같은 대내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반도체, 모바일 등 주력 사업 부문에서 경쟁사를 압도할 초격차 기술 전략을 주요 의제로 다룰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DX(디바이스경험) 부문은 이날 MX(모바일경험) 사업부를 시작으로 19일 DA(생활가전)·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20일 전사 등의 순으로 수원사업장 등에서 글로벌 전략회의를 갖는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은 오는 25일 화성사업장에서 글로벌 판매전략회의를 연다.
이 기간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과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이 각각 회의를 주관한다. DX, DS 부문은 통상 개별적으로 회의를 열고 시장 환경 점검과 전략을 논의해왔다. DS 부문은 전영현 부회장이 DS 부문장을 맡은 뒤 처음 열리는 회의여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 매년 두 차례 국내외 임원급이 모여 사업 부문별 업황을 점검하고, 신성장동력 방안과 사업계획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2021년에는 연 1회로 축소하기도 했지만 2022년부터 두 차례로 다시 늘리며 정상화 수순을 밟았다.
올해 전략회의는 예년보다 무거운 분위기에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은 지난 4월부터 전체 계열사 임원을 대상으로 주 6일제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경기 부진, 전쟁 리스크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비상경영'에 나선 것이다. 주 6일제 근무 부활은 그만큼 삼성이 글로벌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삼성은 전략회의에서 복합 위기 타개책을 논의하는 데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역대급 '한파'를 보낸 DS 부문은 5분기 만에 흑자에 성공하는 등 자체 심폐소생중이다.
무엇보다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선단(첨단) 메모리 반도체에서 추격자 지위를 벗고 선도자 지위를 탈환하는 것이 최대 과제로 꼽힌다. 최근 경계현 사장과 전영현 부회장 자리를 맞바꾸는 원포인트 인사 이유로 엔비디아향 HBM3E 퀄 테스트(품질 검증) 지연이 거론되기도 했다.
전 부회장은 취임사에서 "지난해 DS부문은 설립 이후 최대 적자를 냈다"며 "부동의 1위인 메모리 반도체 사업은 거센 도전을 받고 파운드리 사업은 선두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으며 시스템LSI 사업도 고전 중"이라고 말해 삼성 반도체가 위기 상황임을 지적했다.
여기에 지난 5월에는 DS 부문이 중심이 된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을 단행하는 등 회사 안팎으로 거센 경영 위기가 불어닥치고 있다.
위기 타개를 위해 우선 삼성은 반도체 기술 고도화 속도전으로 위상 회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빼앗긴 HBM 주도권을 회복하는 한편 파운드리 사업에서도 선두인 대만 TSMC와의 격차를 좁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엔비디아, AMD 등이 AI 가속기 신제품을 속속 내놓는 상황에서 삼성은 HBM 등 D램 뿐 아니라 파운드리 제조 역량을 두루 갖춘 장점을 적극 어필중이다. 파운드리, 메모리, 어드밴스드 패키지(AVP) 사업을 모두 보유해 칩 개발부터 생산에 걸리는 시간을 경쟁사 보다 20%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개최한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삼성은 2나노와 4나노 공정 선택지를 늘림으로써 2나노 이하 경쟁에서 TSMC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스마트폰, TV, 생활가전 등이 합쳐진 DX부문에서는 상반기 흥행에 성공한 갤럭시 S24 시리즈의 견조한 판매를 이어가기 위한 리부스트 전략 및 하반기 출시를 앞둔 Z시리즈 마케팅 계획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7월 26일 개막하는 파리올림픽을 보름 앞두고 7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갤럭시 Z시리즈 언팩(공개) 행사를 갖는다. 갤럭시 S24에 이어 Z시리즈에도 '갤럭시 AI'를 탑재해 AI폰 명성을 이어간다. 언팩 기간 Z시리즈 뿐 아니라 반지 형태 웨어러블 제품 '갤럭시링', 스마트워치 '갤럭시 워치7', 무선이어폰 '갤럭시 버즈3'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7월 한 달간 다양한 갤럭시 라인업을 쏟아내는 삼성전자는 'AI폰=삼성전자'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홍보전략을 강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Z시리즈 흥행은 여러가지로 삼성에게 중요하다. 우선 경쟁사를 웃도는 판매량으로 AI폰 시대 원년인 올해, 출하량 1위 타이틀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작년 애플은 삼성전자를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1위에 오른 바 있다.
올해 1분기는 갤럭시 신제품 효과에 힘입어 삼성전자가 1위에 올랐지만 출하량(6010만대) 자체는 작년 보다 40만대 감소했다. 예년 보다 일찍 선보이는 Z시리즈 판매가 어느 정도 받쳐줘야 안정적으로 연간 선두를 탈환할 수 있다.
애플이 자사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탑재한 첫 AI 아이폰을 출시하겠다고 밝혔고,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아너(Honor)도 AI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을 내놓겠다고 한만큼 끝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다.
경쟁사와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는 AI 가전 사업 역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스마트싱스 기능을 앞세운 냉장고·세탁기·청소기 등 AI 가전을 속속 내놓으며 글로벌 시장에 어필하고 있다. 다만 경쟁사인 LG전자 생활가전 사업에 계속 밀리는 상황으로 타개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 점검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전자는 1분기 11조3000억원의 시설 투자를 단행했다. 이 기간 벌어들인 6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크게 상회한다. 반도체 업황이 개선됨에 따라 첨단 제품 수요 대응을 위한 설비 및 후공정 투자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DS부문은 HBM3E 생산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다. 연말에는 전체 HBM에서 HBM3E가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2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HBM 공급은 전년 대비 비트 기준 3배 이상 늘리고 있다. 내년에는 올해 보다 2배 이상의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글로벌 전략회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2주간 미국 출장을 마친 뒤 열리는 것이어서 추가적인 논의가 이뤄질지도 관심이다. 출장 중 빅테크와 논의한 협력 방안을 전략회의 주요 검토 대상에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회장은 2주간의 출장 중 버라이즌 CEO와 회동 등 미국 동부(뉴욕‧워싱턴) 일정을 소화한 뒤 서부로 날아가 글로벌 IT 산업을 주도하는 메타, 아마존, 퀄컴 등 IT·AI·반도체 분야의 빅테크 기업 CEO들과 잇따라 만남을 가졌다.
이 회장은 이들과 AI,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미래 ICT 산업 및 S/W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생성형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사업에 대한 전망도 공유하는 등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또한 다양한 글로벌 팹리스(설계전문) 시스템 반도체 기업들과도 만남을 가져 파운드리 추가 수주 기대감을 높였다.
이재용 회장은 미국 출장 일정을 마치며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