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충당금 1조940억원 적립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 넘게 증가
고금리 장기화로 NPL 비율 1% 돌파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강화 영향도
지방금융지주사들이 올해 들어 대출 부실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충당금만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빚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대출자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따른 조치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되면서 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영향도 맞물렸다.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실 대비에 만전을 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DGB·JB금융 등 3개 지방금융지주의 올 상반기 누적 충당금 전입액은 1조94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51.7%(3729억원) 증가했다. 이들은 회수 불확실한 대출에 대해 건전성 분류 기준에 따라 대손 추산액을 차등 적립한다.
지주사별로 살펴보면 DGB금융이 4756억원으로 102% 늘어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JB금융(2507억원)과 BNK금융(3677억원)이 각각 28%, 26.9% 늘었다.
이들 지주사가 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린 배경엔 악화하는 건전성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DGB금융(1.56%)과 BNK금융(1.22%)의 경우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이 1%를 넘어선 상태다. JB금융(0.91%)도 1%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금융사는 대출채권 상태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구분한다. 이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묶어 구분하는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볼 수 있다. 해당 비율이 1%라는 것은 실행한 대출 10억원 중 1000만원은 회수가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선 계열 지방은행이 중소기업과 중·저신용자에 내준 대출에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의 여신 포트폴리오가 상대적으로 금리 변동에 취약한 차주 위주로 구성되면서 타격을 크게 받고 있다.
특히 비은행에서는 보유한 부동산 PF 대출의 질이 급격히 나빠지고 있다. 대출금리와 건설 공사에 필요한 각종 원자재 가격이 치솟아 PF 사업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 속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한 점도 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는데 영향을 줬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금융사는 PF 사업성 평가 등급을 기존 ▲양호 ▲보통 ▲악화 우려 등 3단계에서 ▲양호 ▲보통 ▲유의 ▲부실 우려의 4단계로 세분화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금융사가 평가 등급 ‘악화 우려’에 해당하는 사업장 대출액의 20~30%를 충당금으로 적립했지만 앞으로는 ‘부실 우려’ 사업장에 대해 75%까지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 변경으로 (지방금융지주들의) 충당금이 증가했다”며 “고금리로 대출 연체가 늘어나고 있고 PF 익스포저도 높은 편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