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쇄신 나선 티몬, 경영·사업 정상화 될까


입력 2024.08.27 07:03 수정 2024.08.27 09:07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재무·자금, 결제, 법무 등 조직 내재화…경영 투명성↑

새 정산시스템도 도입…"배임론 피하기 위한 꼼수" 지적

지난 25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티메프 사태 피해자 모임 단체 소비자들이 검은우산 집회를 하고 있다.ⓒ뉴시스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 여파로 법원의 자율 구조조정 프로그램(ARS)이 진행되고 있는 티몬이 조직 개편에 나서며 플랫폼 정상화에 나섰다.


재무·자금, 결제, 법무 등의 조직을 내재화해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구조 개선을 적극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판매대금 미정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데다 이미 판매자, 소비자 등이 모두 등을 돌린 만큼 내부 조직 개편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경영진들이 배임론을 피하기 위한 보여주기식 조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티몬은 지난 23일 독립경영체제 구축과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의 핵심 가치인 큐레이션 역량 강화를 목표로 고강도 조직 구조개선을 단행했다.


우선 독립경영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이를 위해 재무·자금 조직을 구축하고, 고객들의 구매를 지원하는 결제 조직, 준법경영을 위한 법무 조직 등으로 업무 지휘 체계를 확립하고 경영 투명성을 강화했다.


또한 전 쇼핑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상품본부’를 신설하고 영업조직을 재구성해 큐레이션 역량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류광진 티몬 대표가 상품본부를 직접 지휘하며 중소상공인의 성장을 돕고 플랫폼 정상화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티몬은 고객 특성과 소비성향 등을 고려해 상품을 선별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도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에스크로 기반의 새로운 정산시스템도 가능한 빠르게 도입해 서비스 정상화에 주력하기로 했다.


티몬 측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독자경영체제의 기틀을 마련하고 커머스 플랫폼 역량을 높여 중소상공인과 동반성장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각오다. 특히 신규 정산 시스템 도입 시 자금 안정성이 높아지고 상품 발송 후 3일 안에 대금 정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서는 티몬이 쇄신을 통해 다시 되살아날지 갸우뚱 하는 눈치다.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인한 피해자들과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데다 신뢰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이미 소비자와 판매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상태다.


티몬 내부 직원들의 이탈도 가속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MD 등 핵심 인력들이 계속 이탈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직이 정상적으로 굴러갈 수 있느냐는 것이다.


남아 있는 직원들도 사기가 많이 저하된 상태다. 이달 급여분과 퇴직금 지급 여부가 불투명하다. 티몬과 위메프는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았고 회사 내에도 별도로 퇴직금을 적립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를 초래한 장본인인 구영배 큐텐 대표는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구 대표는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KCCW'라는 이름의 신규 법인 설립을 법원에 신청했다.


이해관계자의 동의를 받아 티메프 지분을 100% 감자하고 자신의 큐텐 지분을 새 법인에 백지 신탁할 예정이다. 이렇게 될 경우 새 법인이 큐텐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지주사가 된다.


대금을 받지 못한 판매자도 주주 조합 형태로 새 법인에 참여시키겠다는 복안이다.


티몬 측으로부터 정산대금을 받지 못한 한 판매자는 “자금 확보를 통해 피해자들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쇄신안은 경영진들의 배임론을 피하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업계 관계자는 “티몬이 플랫폼 정상화를 하기 위해서는 자금 확보 및 신뢰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큐텐과 티몬, 위메프 경영진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진정성을 얻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