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증감 등 귀어 이후 변화 담아
한국어촌어항공단 귀어귀촌종합센터(센터장 정도섭, 이하 종합센터)는 ‘귀어 실태조사’가 통계청 국가통계 승인을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국가통계는 정부 정책 수립·평가 또는 경제·사회현상 연구·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특정 집단이나 대상 등에 관해 작성하는 수량적 정보를 말한다.
종합센터는 귀어 실태조사를 해양수산부로부터 위탁받아 지난 2021년부터 조사 중이다.
기존 귀어 실태조사는 귀어인 귀어 양상, 사유 등을 파악해 도시민의 귀어 관심 유도, 귀어 촉진을 위한 정책적으로 활용해 왔다.
다만 비공식 통계라 활용도나 신뢰도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횡단조사로 설계된 탓에 역귀어나 소득증감 등 귀어 이후 변화에 대한 동태나 원인을 파악이 어려웠다.
해수부는 ‘제2차 귀어귀촌 지원 종합계획(2023~2027)’에 귀어 실태조사 국가통계 승인을 세부 추진 과제로 설정했다.
종합센터는 지난해부터 기술조사 방식 종단조사 전환을 전제로 국가통계 승인을 위한 문항 개발, 표본설계 등 고도화를 추진했다.
정도섭 공단 종합센터장은 “이번 국가통계 승인으로 귀어귀촌 지원 정책 개발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통계 자료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구축된 시계열 자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귀어인의 성공적 정착과 역귀어 방지를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