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외교부·기재부 장관 합동 외신 간담회 개최
조태열 "북핵 로드맵 마련해 '북미협상 가능성' 대응"
외교정책 기조 변함없이 유지…"정상화 전력투구"
외교부가 외교에까지 영향을 준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를 수습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외신을 대상으로 한 회견 자리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기존의 외교정책 기조 하에 북미협상 및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대응,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사업 준비 등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했다.
조태열 장관은 18일 오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외교부·기재부 장관 합동 외신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미국 신행정부 출범 전 대응 구상과 로드맵을 마련해 북미 협상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를 시사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을 염두에 둔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리처드 그레넬 전 주독 대사를 북한 업무를 포함한 '특수 임무' 담당 대사로 지명한 점에 대해서는 핵을 포함한 북한 문제에 대한 생각을 우선순위 과제에서 빼놓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조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 핵문제를 포함해 북한과 협상 기회가 열린다면 그 모든 기회에 열려있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 측과의 소통과 관련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단 입장이다. 조 장관은 "이번 사태가 그 전에 구축해놨던 소통의 정치적 동력을 약화한 측면이 있기에 그 동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면서도 "대통령이 직무정지 상태여서 제약이 있지만 동력 회복을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하에서도 우리의 국력과 위상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는 기존의 외교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단 점도 부각했다. 조 장관은 "최단 시일 내에 우리 외교를 정상화시키고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한미동맹과 한일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한미일 3국 협력의 모멘텀이 지속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부연했다. 중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긴밀한 소통을 유지해 나가겠단 방침이다.
조 장관은 "다자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과 신뢰를 조속히 회복할 것"이라며 "내년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치를 수 있도록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해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정치 상황이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사업 준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하등 미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조 장관은 "문제는 이런 우리 국내 상황을 일본이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여 60주년을 기념하고 미래지향적 의미를 만드는 데 주춤할까봐 오히려 우리가 걱정하는 상황"이라며 "일본이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다뤄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프랑스 정치 사상가 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발언을 인용해 "민주주의는 언제나 자기 스스로를 고칠 수 있는 힘을 가진 체제"라며 "이번 계기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한 걸음 더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