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역할 어떤 것인지 계속 찾을 것"
"복당 후 이재명 대표와는 통화 기회"
"포용, '李 안된다'는 사람과는 어려워"
최근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요리 하나만 보고 국민들이 손을 뻗겠느냐"며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민주당 내에서 자신을 포함한 다양한 주자들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10일 오전 CBS라디오 '뉴스쇼'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어떤 것인지 그것을 앞으로 계속 찾아갈 생각"이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특히 김 전 지사는 '통합'을 강조하면서 "우리가 세 번의 민주정부를 운영해 왔던 과정을 보면 국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도 폭넓게 국정을 안정시켜 나갈 수 있는 연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당에 약간 충격파가 필요한 것 아니냐라고 (생각해서) 던졌는데, 하도 욕을 먹어서 요즘 밥을 안 먹어도 배가 부르다"면서도 "이 정도는 각오한 내용이었고, 이렇게 욕을 먹는 것은 괜찮다"고 했다.
대신 김 전 지사는 "이렇게 해서 우리 당이 더 큰 민주당, 그리고 통크게 통합해낼 수 있는 민주당이 되고, 야권을 아울러서 정권교체를 해내고, 대선 승리 이후에 성공한 민주정부를 만들 수 있다면 나는 그것으로 내 역할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라디오 출연에서 김 전 지사는 최근의 복당 직후에 이재명 대표와 전화 통화를 할 기회가 있었다는 점도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우리 당이 좀 더 다양한, 다양성이 구현되는 당이 돼야 한다"며 "요즘 그러지 못해서 아쉽다, 그리고 이것을 극복해 나가야 된다라는 취지의 얘기를 하더라"라고 전했다.
'이재명 대표가 (그런 얘기를 했는지)'란 진행자의 질문에는 "이 대표도 그 방향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다"라면서도 "결국은 이게 대표나 당 지도부 몇 명의 생각 가지고 풀 수 있는 게 아니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우리 당의 의원들 그리고 우리 당원들·지지자들까지 이러한 분위기를 폭넓게 동의를 구해 나가고 설득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포용성·다양성 및 당내 통합과 관련해 민주당을 떠난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의 복당까지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정치인에 대한 얘기는 아니었다"며 "떠난 사람들에 대한 건 개인적으로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던 건데, 무조건 떠난 사람들을 다 받아야 된다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우선은 당이 바리케이드를 치우고 문호를 넓혀야 된다. 그리고 대선 승리에 힘을 합하겠다는 사람들은 받을 수 있도록 해야 된다"면서도 "그렇지만 원칙과 기준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누구누구는 안 돼. 이재명은 안 돼' 이런 얘기를 하는 사람들하고는 통합하기 쉽지 않다"며 "누가 됐든 민주적인 과정을 거쳐서 민주당의 후보가 되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돕고 지지할 수 있다는 사람들이 하나로 통합해 나가야 되지 않겠느냐"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경선 후보의 다양성과 활력에 대한 질문에는 "다양한 요리가 있을 때, 국민들이 이 요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 국민들이라도 다른 요리를 보면서 그 식당으로 들어갈 수 있지 않겠느냐"라는 입장도 보였다.
김 전 지사는 '요리 중에 하나로 뛰어들어오라는 요구가 있을 때'를 전제해 "그 요리를 만들 수 있는 좋은 식당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며 "거기에 필요한 역할이 있으면,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어떤 건지 그건 앞으로 계속 찾아가도록 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