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융 부실 불똥] 4대 은행, 빚 못 갚는 '부실채권' 4조 육박


입력 2025.02.12 07:02 수정 2025.02.12 07:02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지난해 고정이하여신 3조9490억, 전년比 16.6%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으로 차추 상환 능력 악화

연체율도 모두 상승…은행 건전성 관리 고삐

빚 부담 이미지 ⓒ 연합뉴스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은행 빚을 제 때 갚지 못하는 차주가 늘어나 4대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 속 금리인하가 생각보다 더디게 이뤄지는 가운데 은행권 부실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잔액은 3조94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6.6% 급증했다. 4조1000억원에 달했던 3분기 보다는 잔액이 줄었으나 여전히 4조원에 버금갔다.


부실채권을 가리키는 NPL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3개월 넘게 연체된 여신을 뜻한다. 금융사들은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부분이 고정이하여신이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의 NPL이 1조2589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1.3%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8617억원, 하나은행도 1020억원으로 각각 9.5%, 16.2% 늘어났다. 우리은행은 781억원으로 4대 은행 중 규모는 가장 적었지만, 증가율은 38.0%로 가장 높았다.


부실정도를 가늠하는 NPL비율도 올랐다. 4대 은행 모두 1년 전과 비교해 최대 0.05%포인트(p)까지 올랐다. 각각 국민은행 0.32%, 신한은행 0.24%, 하나은행 0.29%, 우리은행 0.23%로 집계됐다.


반면, 위기 상황 대비 손실 흡수능력을 보여주는 NPL 커버리지 비율은 낮아졌다. NPL 커버리지 비율은 NPL 대비 대손충당금 잔액 비율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손실흡수력이 좋은 것으로 볼 수 있다. 4대 은행은 지난해 3분기 말까지 '역대 최고' 규모의 8조132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지만, 부실채권 급증으로 해당 비율이 하락했다.


국민은행의 지난해 말 NPL 커버리지 비율은 202.5%로 전년 대비 23.1%p 낮아졌다. 신한은행은 같은 기간 27.29%p 감소한 201.74%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은 163.5%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00%를 충족했지만 이들 은행 중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40.2%p 하락한 수준이다. 우리은행은 247.4%로 업계 최고 수준의 비율을 나타냈으나, 같은 기간 73.4%p 대폭 하락했다.


4대 은행의 부실채권 추이 그래프 ⓒ 데일리안 이호연 기자

부실여신이 급격하게 늘어난 배경에는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차주들의 상환 능력 악화가 꼽힌다. 은행들이 지표관리를 위해 대규모 부실채권 상·매각을 하고 있음에도 은행 대출에서의 부실이 몸집을 불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4대 은행의 연체율도 같은 기간 모두 올랐다. 국민은행은 0.22%에서 0.29%까지 상승했으며, 신한은행은 0.26%에서 0.27%로 소폭 증가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각각 0.26%에서 0.30%까지 뛰었다.


은행권에서는 코로나 이전보다는 상황이 낫고 금리인하기에 진입해 당장 위기 수준이 높지 않다고 보는 분위기다. 그러나 당분간 연체율이 더 오를 전망으로 경계심을 낮추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내수부진과 환율 급등 등 국내 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특히 경기 부진이 장기화로 서민경제가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금리인하 체감도 크지 않다. 지난달 기준금리 동결 당시만 해도 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화로 관측됐지만, 환율 변동성 확대 속 미국의 관세 영향까지 국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시 불투명해졌다.


은행 관계자는 "내수침체에 따른 경기민감 차주 중소법인, 소호 위주로 연체율이 늘었다"며 "취약섹터 모니터링 강화 및 부실자산 조기 선별 정리를 위한 상·매각 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부실 여신의 규모, 연체율 등이 당분간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고 국내외 경제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수적인 시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으며 부실징후가 감지되는 차주들을 밀착 관리하는 등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