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윤석열 대통령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입건 수사 중
김성훈 차장 휴대전화 분석 과정서 윤 대통령과 영장 저지 관련 대화 나눈 것 포착
보안성 높은 미국산 암호화 메신저 '시그널' 통해 메시지 주고받아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자신에 대한 체포영장을 방해하도록 지시한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윤 대통령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해 수사 중이다.
경찰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해 분석하는 과정에서 김 차장이 윤 대통령과 체포영장 저지와 관련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대화는 1차 체포영장 집행 때인 지난달 3일과 나흘 뒤인 7일 등에 이뤄졌으며, 2차 체포 시도가 이뤄질 경우 경호처가 적극 나서라는 취지의 윤 대통령 지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보안성이 높은 미국산 암호화 메신저 '시그널'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호처 내 '강경파'로 꼽히는 김 차장은 이후 직원들에게 체포 저지 지시를 하달했지만, 1월 15일 경호처 직원들이 동조하지 않으면서 윤 대통령은 체포됐다.
경찰 관계자는 "메시지의 구체적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며 "메시지 확보 이전부터 윤 대통령이 체포 저지를 지시했다고 보고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저지 의혹은 역시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 김 차장의 첫 번째 구속영장부터 명시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검찰이 김 차장 구속영장을 세 차례나 반려하며 수사는 난항을 겪고 있다.
현직 대통령 신분상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는 형사 소추되지 않는다. 앞서 조국혁신당도 같은 혐의로 윤 대통령을 고발하기도 했다.
한편 특수단은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 등 6명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이첩했다. 원 본부장은 계엄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을 만나 계엄을 논의한 의혹을 받는다.
공수처는 이날 오전부터 서울 용산구에 있는 원 본부장의 국방정보본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