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尹, 변론 종결…'막판 여론전' 펼친 국민의힘, '중도 확장'은 미궁 속


입력 2025.02.26 00:40 수정 2025.02.26 05:36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약 8시간 진행된 변론, 與일각 마지막까지 남아 힘 보태

권성동 "尹, 진솔한 대국민 사과…고뇌 진솔히 나타나"

'비상계엄 정당화' 초점에 "민심 악화 막긴 어려워"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소속당 의원들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 참관하기 위해 입장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집권 여당의 지지 속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진술을 끝으로 탄핵심판 변론이 마무리됐다. 여당 측의 기대대로 최종 변론에서 대국민 사과 메시지와 '임기 단축 개헌' 카드가 꺼내졌지만, 주된 초점은 '비상계엄의 정당성'에 맞춰지면서 국민의힘의 '중도 확장' 전략은 다시 한번 난관에 부딪칠 것으로 전망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25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11차 변론 방청 후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최종 의견 진술에 대해 "진솔한 대국민 사과와 비상계엄에 이르게 된 본인의 고뇌가 진솔하게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이날 최종변론 방청에는 권 원내대표를 포함해 나경원, 윤한홍, 김기현 등 10여명의 국민의힘 의원들이 함께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최후진술에서 "이번 계엄은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며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84일이 지났다. 제 삶에서 가장 힘든 날들이었지만 감사와 성찰의 시간이기도 했다.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최종 변론은 오후 2시부터 약 8시간에 걸쳐 진행됐으며, 국민의힘 의원들은 끝까지 자리를 지키며 탄핵 반대 여론 결집에 집중했다. 특히, 권 원내대표는 여당 '투톱' 중 처음으로 탄핵 심판을 방청했으며, 예정돼있던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 원내대표 회동을 미루면서까지 참여해 윤 대통령과의 긴밀한 연대 의지를 드러냈다.


권 원내대표는 "앞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개헌과 정치개혁을 하겠다는 말씀과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며 "국민에 의해 선출된 대통령에 대해 탄핵 심판이 이뤄지는 게 안타깝고 무겁게 생각한다. 집권여당 원내대표로서 이 점에 있어 국민께 송구하다"고 강조했다.


당 차원의 개헌 여부에 대해서는 "탄핵 결론과 관계 없이 여러 차례 우리가 87년 체제에 대한 개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며 "그와 관련해 당내 개헌특위 구성도 박차를 가하고 공청회를 통해 개헌 필요성과 시급성을 국민에게 호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구두 논평을 통해 "무엇보다 대통령이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하고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한 부분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윤 대통령의 최종진술을 보며 개인이 아닌 대통령으로서 바라본 나라는 절체절명의 위기였고, 그 위기를 국민께 알리고 극복하기 위해 본인의 기득권을 포기하면서까지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던 대통령의 고뇌에 찬 심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최종 변론이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데 집중되면서, 친윤계 의원들과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대권 주자들은 탄핵 심판 선고일까지 강성 지지층 결집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엄 정당화' 부각 됐단 평가 지우긴 어려워
여당, '중도층 겨냥 전략' 펼치긴 한계 명확


그러나 일각에서는 국민 화합이나 정치 개혁의 의지보다도, 오히려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설득하려는 의도가 더욱 부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로 인해 국민의힘이 중도층을 겨냥한 전략을 펼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의 최종 발언으로 민심 악화를 방지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한 것이다.


결국 국민의힘이 앞으로 정책이나 행보를 통해 이미지 반전을 꾀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뒤따른다. 정치권에서 조기 대선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국민의힘 경우 단순히 조기 대선 준비에 집중하기보단 탄핵 반대 정당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어떻게 탈피할 것인 지가 향후 생존을 좌우할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이 사과한다 해서 무엇이 바뀌진 않을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조기대선 준비가 문제가 아니다. 탄핵 반대 정당 이미지를 어떻게 바꿀 지다. 이론적으로 정당 이미지를 바꾸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갤럽의 조사를 인용하면서는 "탄핵 찬성이 60%인데 그중 중도층이 69%다. 그런데 국민의힘 탄핵을 반대하니 중도층 지지율이 올라갈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100%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한 2월 3주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물은 결과 찬성 60%, 반대 34%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중도층 탄핵 반대 25%, 무당층은 탄핵 반대 2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신 교수는 "플랜 A와 B가 있다. 탄핵 기각 시 국민의힘이 국민들이 느낄 공포감을 어떻게 잠재울 것인지, 인용 시 반대를 외쳤던 상황에서 이를 받아들이겠다 했을 때 (강성 지지층의 반발에 대한) 대책이 있나. 묘책이 있나. 당연 없다"며 "탄핵을 반대하다 탄핵 인용을 받아들이겠단 건 모순이다.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식적으로는 아니지만 국민의힘도 조기 대선을 준비 중인 것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며 "현재 조기대선을 준비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데, 그럼에도 그 그림이 어정쩡하다"고 일갈했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