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댓글을 무더기로 달아 여론을 왜곡하는 이른바 '좌표 찍기'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내놨다.
네이버는 28일 제휴 언론사 공지를 통해 "댓글 공간에서 이용자 반응이 급증하는 현상을 언론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4월 29일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에 신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 반응 급증 감지'는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이나 비공감이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기사를 탐지해 이용자와 언론사에 알리는 기능이다.
앞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 네이버 뉴스 서비스 '좌표 찍기' 문제 대응책에 대한 질문에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언론사들에게 해당 내용을 알리고, 이용자들도 즉시 알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언급한 적 있다.
네이버는 댓글 반응 급증이 감지되면 '이용자 반응이 급증한 댓글이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댓글 영역에 노출해 이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린다.
댓글 반응 급증 탐지 알림을 받은 언론사는 기사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설정 시 기존 설정 값과는 별도로 해당 기사의 정렬 조건만 바뀐다. 감지 기사는 알림 메일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고, 메일링 여부나 주기도 설정 가능하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언론사의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 설정 메뉴 하단에 있던 댓글 관리 메뉴를 별도로 분리했다. 접근성을 높여 효율적인 댓글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댓글 반응 급증 감지 기능은 베타 버전으로, 향후 감지 기준을 고도화하고 지속적으로 확장 및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네이버 측은 "네이버뉴스는 댓글 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발전된 기능을 도입하는 것과 함께 악성 댓글에 대한 조치와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을 더해 댓글의 순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