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재향군인회 "특정세력과 간부중심의 향군거부"
표명렬씨 주도, 국군의날 바꾸고 김오랑소령 동상세우기 전개하기로
재향군인회법에 규정된 기존의 재향군인회(향군)를 거부하는 몇몇 제대 군인들이 28일 향군과는 노선이 전혀 다른 ‘평화재향군인회’(평군)이란 조직을 새로 만들고 “특정세력과 간부 중심으로 운영되는 향군을 거부한다”고 밝혀 향군과의 마찰이 예상된다.
평군은 이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평화통일에 기여하는 민족적 자존심과 자신감 있는 제대군인 단체의 필요성에 뜻을 같이한 사람들이 평화재향군인회를 설립하기로 했다”면서 “재향군인회 간부들만을 위한 향군을 지양하고 회원들이 주인인 향군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앞으로 왜곡된 군대문화를 개혁하고 자주적 안보관을 국민의식 속에 뿌리내리며 남북 제대군인간의 화해증진과 군비축소 등 평화정착 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평군은 또 “기존 향군이 태생적 한계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면서 “지금까지와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단체를 만들겠다”고 선언, 기존 재향군인회와는 노선이 다를 것임을 분명히 밝혔다.
이에 따라 평군은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설 기념일인 9월 17일로 바꾸고, 12.12 사건 때 숨진 김오랑 소령 동상세우기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국군의 정통성을 회복하고 군 역사를 바로 잡겠다는 것이다. 김 소령은 1979년 사건 당시 정병주 특전사령관의 부관으로 정 사령관을 체포하려던 특전사 대원들의 총격으로 숨진 인물.
평군의 임시 상임 대표를 맡고 있는 군사평론가 표명렬 예비역 준장은 “독재 시대가 막을 내린 지 10여년이 됐는데도 권위주의작인 군대문화가 바뀌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안보 담론을 특정세력이나 직업군인 출신들이 독점해 오던 잘못된 인식의 관행을 타파해 국민의 것으로 되돌려 놓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평군 출범에 대해 정식 회원만 100만명에 이르는 최대 예비역 단체인 향군은 “일부 소수 제대 군인들의 일”이라며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향군의 유환국 홍보부장은 “평군이란 단체는 향군법에 명백히 위배되는 불법단체”라면서도 “몇명 되지 않는 사람들의 행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 오히려 평군을 홍보해 주는 꼴”이라며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재향군인회 설립을 규정하는 재향군인회법 2조 4항은 ‘이 법에 의하지 아니하는 재향군인회를 설립할 수 없으며 이 법에 의한 재향군인회가 아니면 재향군인회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돼 있다.
유 부장은 또 “평군을 주도하는 사람들 중에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띄우기 위해 새로운 단체를 만들려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면서 “생각은 달리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전에는 아무 소리 않다가 이제 사회 분위기가 달라지니까 이에 편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지금 당장 이 단체에 대응하지는 않겠지만 적절한 시기가 되면 정식으로 문제를 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