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황우여 임기따라 전대도 의장도 '실타래'
지방선거 6월 임기는 5월 조기퇴진이냐 전대 연기냐 놓고 셈법 복잡
오는 10월 재보궐선거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 내 역학구조 재정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황우여 대표와 강창희 국회의장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이 비슷하게 맞물리면서 차기를 노리는 주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지난 2012년 5월 15일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황 대표의 임기는 당헌·당규에 따라 오는 2014년 5월 15일까지다. 강창희 국회의장의 경우 19대 국회 개원이 늦어지면서 지난해 7월 선출됐지만, 법정기일은 5월 29일이다.
내년 6월에 지방선거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새누리당 전당대회가 다소 미뤄질 가능성도 다분하지만 큰 이변이 없는 한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먼저 치러지게 된다.
현재 새누리당 내에서 차기 국회의장으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이인제(6선·충남 논산·계룡·금산), 황우여(5선·인천 연수구), 정의화(5선·부산 중구동구) 의원 등이다. 여기에 이번 10월 재보궐 선거 출마가 확실시 되고 있는 서청원 상임고문 역시 국회 입성에 성공할 경우 국회의장을 노릴 가능성이 높다.
이인제 의원의 경우 헌정사 64년 만에 최초의 충청권 의장으로 이름을 새긴 강창희 국회의장이 최대의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지난 18대 국회에서 전반기 의장을 김형오(부산 영도), 후반기 의장을 박희태(경남 양산시) 전 의원이 각각 맡아 PK(부산·경남) 출신 의원들이 국회의장을 독식한 점에 비춰볼 때 이번 19대 국회에서도 한 지역 출신이 국회의장을 도맡을 경우 반발이 예상된다.
이완구 의원과 서청원 상임고문의 행보 역시 고려대상이다. 지난 4월 재보궐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이완구 의원은 일찌감치 충청의 맹주로 지목돼 왔다. 당내 충청권 의원들 가운데서 “차기 당 대표는 이완구”라는 목소리가 공공연하게 제기되는 가운데 실제 이완구 의원이 당대표로 선출될 경우 이인제 의원의 행보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같은 지역에서 당 대표와 국회의장을 동시에 거머쥐기는 어렵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기 때문이다.
10월 재보궐 출마가 확실시 되는 서 상임고문의 경우 아직까지 인천 서구·강화을, 충남 서산·태안 중 한 곳을 두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신의 고향인 충남을 선택할 경우 김무성 의원과의 차기 당대표 경쟁에서 ‘충청 대 부산’이라는 구도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반대로 인천을 택할 경우 국회의장직 도전에 다소 유리하다.
지역에 발이 묶이는 건 정의화 의원도 마찬가지다. 현재 차기 당대표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김무성 의원과 같이 부산에 지역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인제 의원과 마찬가지로 김 의원이 차기 당대표로 선출될 경우 사실상 부산에서 국회의장까지 차지하기는 현실상 어렵다. 18대 국회의장이 모두 PK지역에서 나왔다는 점도 부담이다.
황우여 대표의 경우 가장 복잡하다. 황 대표는 원내대표, 당 대표를 두루 거치면서 이제 남은 건 국회의장뿐이다. 지역구도 인천이기 때문에 다른 후보군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대표직에서 물러날 시기다.
황 대표는 지난 2012년 5월 당 대표직에 임명된 이후 18대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고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첫 선거인 지난 4월 재보궐에서도 압승을 거뒀다. 10월 재보궐 결과에 따라 조기 퇴진할 수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지만 선거판이 예상보다 축소되면서 현실성이 떨어졌다. 무난히 남은 임기를 채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선거가 6월인 점을 감안하면 5월 전당대회를 통해 출발하는 새 지도부가 내부를 다지면서 지방선거까지 준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황 대표가 새 지도부의 내부정비기간 확보를 위해 임기를 남겨둔 상황에서 다소 여유롭게 조기 사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반대로 최고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전당대회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만큼 지방선거 이후 사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만약의 경우 선거에서 패배하면 황 대표에게도 타격이 갈 수 있다.
결국 황 대표의 조기 사퇴가 중론인 가운데 차기 당 대표 후보자들의 머릿속도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다음 당 대표는 2016년 20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다. 차기 대선 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다. 반면 지방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선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책임론’에 휩싸여 조기 퇴진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독이 든 성배’가 될 수도 있다.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면 당권을 견고히 다지면서 차기 대선까지 순항이 가능하지만, 패배할 경우 '조기 강판'이라는 불명예는 물론 당내 입지도 좁아지는 그야말로 '모 아니면 도'인 상황이다.
전당대회와 국회의장, 10월 재보궐과 2013년 지방선거가 각각 맞물린 가운데, 새누리당이 복잡하게 엉킨 실타래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