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화록 삭제' 7일부터 줄소환…음원 공개에 초점


입력 2013.10.06 14:12 수정 2013.10.06 17:18        스팟뉴스팀

여권 "국정원 음원과 이지원 삭제 원본 비교해 논란 끝내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삭제와 관련된 인사들의 검찰 소환이 7일부터 예정된 가운데 국가정보원에서 보관 중인 음원파일을 공개해 진실 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삭제와 관련된 인사들의 검찰 소환이 7일부터 예정된 가운데 국가정보원에서 보관 중인 음원파일을 공개해 진실 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가 이른바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과 같은 민감한 발언을 완화 또는 수정하고자 원본 대화록을 삭제한 뒤 국가기록원에 넘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당의 화력을 총동원해 대야 공세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봉하 이지원(e知園)'에서 발견한 대화록과 삭제본을 복구한 대화록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는 검찰 수사 결과를 놓고 여권 내에서는 국가정보원의 음원 파일 공개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한 여권 관계자는 "국정원 음원과 이지원 삭제 원본 등을 비교해 논란을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한 대통령기록물 열람과 달리 국정원 음원은 여야 합의가 없어도 공개할 수 있다는 게 음원 공개를 주장하는 새누리당 의원들의 주장이다.

민주당은 이 같은 여권 내부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면서 내부적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느라 부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정중동(靜中動)의 움직임 속에 민주당은 일단 '정쟁 중단'과 '민생 정책'을 내세우며 돌파구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정호준 원내대변인은 "대화록 국면을 뒤집고자 뭔가를 한다기보다는 기초연금, 세금, 민생 등 대통령이 국민과의 약속을 뒤집은 정책적인 문제점을 국회 안에서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첨예한 '대화록 정국'의 와중에 국회는 7일과 8일 본회의를 열어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청취할 예정이어서 여야 간 공방이 정면 충돌 양상으로 격화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검찰은 오는 7일부터 남북정상회담 대화록과 관련된 노무현 정부 인사 30여명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소환 대상은 대부분 노무현정부 시절 대통령 기록물을 생산·이관한 인사들이다.

당시 대통령 기록물 이관 준비를 맡았던 임상경 전 비서관과 이창우 전 수석행정관, 이지원 시스템 개발을 주도한 민기영 전 업무혁신비서관 등이 소환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의원과 김만복 전 국정원장도 소환될 가능성도 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