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연설서 '창조형 에너지경제' 제시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에너지경제에 창조경제를 접목한 새로운 에너지정책으로 ‘창조형 에너지경제’를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린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WEC)’ 특별 세션에서 “에너지 저장장치(ESS), 에너지 관리시스템(EMS) 등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이렇게 해서 절약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최대 100만㎾의 전력피크를 절감하고, 3조5000억원 규모의 시장과 1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력 절감으로 ‘창조형 에너지경제’를 창출해 에너지 안보, 사회적 형평성, 환경영향 최소화 등 ‘에너지 삼중고’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또 “한국은 원유 수입국이자 석유제품 수출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입장을 조율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한국이 ‘아시아 에너지장관회의’와 ‘세계에너지총회’ 등 국제회의를 잇달아 개최한 것도 이런 의지의 표명”이라고 밝혔다.
특히 “동북아지역의 에너지협력에 적극 참여하고 개발도상국의 에너지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늘려가면서 글로벌 에너지협력을 위한 기여를 확대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에너지 삼중고’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의 ‘에너지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박 대통령은 ‘글로벌 에너지협력’ 대전환을 제시하며 “이제 에너지 소비국들이 생산국의 발전을 도외시한 채 에너지 확보에만 치중해서는 안 된다. 에너지 생산국들도 소비국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과도하게 에너지 공급을 통제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래선 세계경제의 지속가능하고 균형 있는 성장이 불가능하다”면서, 이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에너지 헌장조약’과 같은 통일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에너지경제 모델’, ‘에너지 정책과 제도’ 부문에 있어서도 인식을 전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환경영향을 줄이면서도 에너지 수요를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LED(발광다이오드), 친환경 자동차 등 에너지 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개발된 신기술이 창업과 벤처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에너지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가격체계와 규제를 조정하고, 청정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서 에너지 낭비를 조장하지 않도록 지원방식을 합리화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3일 대구에서 개막한 세계에너지총회는 3년 단위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에너지국제행사로, ‘에너지계의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으로도 불린다.
이번 총회에는 러시아·터키·스페인을 비롯한 40개국 57명의 장관과 IAEA(국제원자력기구)·IEA(국제에너지기구)·UN(국제연합) 등 국제기구 수장, 에너지 기업 CEO, 시민단체 관계자 등 6000여 명이 참석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