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차기 포스코 회장은 '대통령 수첩' 속에?


입력 2014.01.10 15:31 수정 2014.01.11 17:58        데일리안=김영진 기자

<기자의 눈>회장 선출 비공개에다 최대주주 국민연금 제 역할 못해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전경.ⓒ연합뉴스
포스코 차기 회장을 두고 하마평이 무성하다.

포스코 내부 임원 뿐 아니라 전혀 의외의 외부인사가 거론되면서 포스코의 앞날을 착잡하게 하고 있다.

기자들은 '맞으면 좋고 틀리면 그만'식의 추측성 기사를 생산하기 급급하다.

거기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포스코가 민영화되기 전 산하기관이었던 만큼, 산업부 출신 관료를 앉히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결국 포스코 차기 회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수첩' 속에 있다는 게 현실화하고 있다.

실례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포스코 회장 후보 명단을 대통령에게 올렸지만, 박 대통령이 "포스코는 내가 잘 안다"고 말해 이미 포스코 회장을 정해 놓은 것 아니냐는 말이 나돌 정도다.

하지만 포스코 차기 회장 선임을 놓고 '대통령 수첩인사'가 회자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란 게 재계의 분위기다. 시장경제를 표방하는 나라에서 정부 지분이 없는 민간기업인 포스코의 수장을 정권이 바뀔때마다 갈아치우는 게 있을수 있느냐는 반문이다.

현재 포스코는 '승계협의회'를 구성해 조만간 CEO후보추천위원회를 가동할 예정이다. '승계 협의회'는 현재 헤드헌팅업체에 의뢰해 차기 회장 선별작업을 하고 있다.

CEO후보추천위원회는 승계협의회에서 추천한 인물을 최대한 압축해 검증작업을 거쳐 단독 후보를 선임한 뒤 주주총회에 추천할 예정이다.

산업부 김영진 기자
하지만 이 모든 절차는 비공개가 원칙이다. 물론 일반 기업들도 CEO를 뽑을 때 공개해야할 이유는 없다. 대신 일반 기업들은 공고를 내거나 최대주주와 협의를 거친다.

포스코의 경우 최대주주가 국민연금이지만, 국민연금이 포스코 회장 선출에 목소리를 냈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국민연금은 국민이 낸 돈으로 운용을 해서 그 수익을 다시 국민에게 나눠준다.

하지만 포스코는 철강 공급과잉으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돼 2010년 60만원 대의 주가는 30만원대로 거의 반토막이 난 회사다.

그럼에도 국민연금은 포스코 주식을 장기보유하고 있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최대주주로서 당연히 행사해야할 권리조차 하지 않고 있다.

이러니 포스코는 언제나 정권의 입김에 시달리는 기업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포스코는 과거처럼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는 알짜기업이 아니다. 국내 철강기업들 뿐 아니라 세계적인 기업들과도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고 더군다나 철강 장기 불황을 이겨 내야할 기업이다.

'대통령의 수첩' 인사가 우려스러운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김영진 기자 (yj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영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