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카드 회원정보 유출?" 내주부터 확인 가능
이르면 내주 월요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최근 1억여건이 넘는 카드사 회원정보 유출과 관련해 각 카드사 회원은 이르면 내주 월요일부터 본인 피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7일 금융감독원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최근 검찰로부터 유출된 카드사 개인정보를 확보한 금융감독원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3개 카드사(△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에 다음주부터 유출 내용을 피해 회원에게 통지하라고 지시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검찰로부터 자료를 확보했다"면서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카드사에 다음주 중 피해 고객에게 통지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카드사 한 관계자도 "금감원이 검찰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금일 오전이나 늦어도 2시까지 피해 회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부에선 어떤 방법으로 피해 회원에게 통보할지 구체적인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현재 피해 고객이 확인된 상황"이라며 "홈페이지나 이메일 등으로 피해 고객에게 안내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번에 피해 여부를 회원에게 알리는 이유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것이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40조에 따르면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때 서면 등의 방법으로 바로 정보주체에게 알려야 한다. 아울러 제60조에는 △위반행위의 내용 및 정도 △위반 기간 및 횟수 △위반 행위로 인해 발생한 피해 범위와 결과 등을 알리도록 하고 있다.
다만, 유출 내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 유출된 사실과 확인된 사항만 먼저 알릴 수 있다.
이에 구체적인 피해 내용보다 유출 사실만 확인해줄 가능성도 크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서둘러 회원에게 알리는 이유는 카드회원의 불안감이 커지기 때문"이라며 "수사가 진행 중이다 보니 유출된 정보가 어디까지고 어떤 내용인지 확인해주는 데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카드사 관계자도 "유출 내용에 따라 보상 범위도 정해진다"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유출 내용을 담기는 시기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해명했다.
카드사 회원 수를 고려했을 때 이번 사태로 피해를 본 회원은 대략 1500만명 규모로 예상된다. 사실상 대부분의 카드 이용자 정보가 유출된 것이다.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우선 홈페이지를 통해 피해회원에게 안내할 가능성이 크다. 카드사 관계자는 "사실상 회원 대부분이 피해 고객이라 개별 통지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당국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면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확인 절차만 걸치면 피해 여부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알렸다.
한편, 검찰은 지난 8일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직원이 국민카드 5300만건, 롯데카드 2600만건, 농협카드 2500만건 등 1억400만건의 고객 정보를 유출했다고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