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액 비중도 두배로 늘려...원전·플랜트 수주활동 지속
산업통상자원부가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시장비중을 현행 55%에서 71%로 확대키로 했다. 또 교역액 비중도 현재의 두 배에 가까운 61%로 늘리기로 했다.
산업부는 24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산업부는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FTA 지역으로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를 꼽았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3월 중에 예비 양자협의 결과와 국내 영향분석 결과를 보고 한국의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다.
다자간 무역 협상과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산업부는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이 활성화될 것에 대비해 분야별 전략을 재점검한다. 업종별 통상산업포럼과 지역설명회를 연중 개최해 통상과 관련된 의견수렴을 꾸준히 진행하고, 각국의 보호무역주의에도 산업계와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FTA로 피해가 예상되는 농축수산업계에 대한 지원 강화 방안도 모색한다. 산업부는 분기마다 농수산물 수출지원 협의회를 개최하고, 중국에 농식품 구매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국내 취약분야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찾기로 했다.
또 산업부는 올해 아랍에미리트(UAE) 3개 광구 탐사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10억 배럴를 확보하고 셰일가스, 가스, 하이드레이트(국내 대륙붕) 등을 핵심 사업으로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전문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 투자심의 과정에서 민간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하고 투자실명제 등을 도입한다.
이 밖에 산업부는 핀란드와 베트남 등을 대상으로 원전·플랜트 수주활동을 지속한다. 핀란드 원전수주는 현재 입찰협상이 진행 중이고 베트남의 경우 올해 공동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발주가 가시화된 국가를 중심으로 신규 수주를 적극 추진하겠다"면서 "신규 원전 수주를 위해 금융, 인력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