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및 학계 수요 적극 반영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 올해 총 203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경기도 판교에서 개최된 '2014년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 설명회'에서 올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에 지난해 대비 4% 증가한 20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신규사업을 대폭 늘려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소·중견기업 및 학계의 수요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사상 최초로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달성했지만 메모리 위주의 불균형 성장과 장비·소재 분야의 취약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성장 정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 대학 및 연구소의 반도체 원천연구 및 인력양성 기능이 크게 약화돼 온 점도 부담이다.
디스플레이 역시 11년째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 중화권 기업들의 추격 등으로 경쟁국과 기술 격차를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다.
산업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취약점들을 조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시스템반도체 국산화 등 7대 핵심과제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먼저 장비·소재 분야의 낮은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장비·소재를 제조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682억원 규모로 집중 지원한다.
특히 올해 신규사업부터 대기업보다는 중소·중견기업 및 대학·연구소 중심의 산업 생태계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또한 단순 하드웨어 개발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SW)와 시스템반도체(SoC)를 적극 접목해 중소기업의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융합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키로 했다.
김정일 산업부 전자부품과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이 신시장 개척의 부진, 고질적인 장비·소재 분야의 취약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중국 등 경쟁국의 추격이 거세질 우려가 있다"며 우리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의 취약점을 조속히 보강해 글로벌 1위 수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