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북 도발 긴급 대응태세…NSC 개최할 듯
새누리·새정연 '북한 비판', 통진당·정의당은 '양비론'
북한이 31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향해 발사한 포탄 중 일부가 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것과 관련,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국방부, 통일부 등 유관부처와 함께 긴박한 대응태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은 향후 국방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의 해상사격 훈련 중 NLL 이남 지역에 (북측 포탄) 일부가 낙탄했다”며 “우리 군도 NLL 인근 이북 해상으로 K-9 자주포로 대응 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은 북한의 포탄이 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사실과 우리 측의 대응 내용을 즉각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비태세 확립과 주민 피해 방지를 위한 신속한 조치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 상황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김 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 후속조치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새정연 "북 용납못해" 통진·정의 "쌍용훈련 때문"
한편, 북한의 도발 소식이 알려지면서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북한의 행태를 즉각 비판했다. 다만 통합진보당과 정의당은 북한 도발의 원인으로 ‘쌍용훈련’을 지목하며 남북 모두의 자제를 촉구했다.
민현주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도발에 충격과 우려를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북한과의 관계 개선과 상호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우리의 노력을 한순간에 꺾어버리는 북한의 도발을 새누리당은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이어 “북한은 이제라도 이성을 되찾아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며 “최근 남한이 인도적 지원과 경협 확대를 위해 국제사회의 지원과 협력까지 이끌어내고자 노력하는 상황에서 오늘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북아의 평화마저 심각한 위기에 빠트리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민 대변인은 “군 당국은 북한의 도발에 대해 철통같은 경계태세로 강력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정부 또한 연평도와 백령도를 비롯한 서해안 지역의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하고, 만약에 발생할 수도 있는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강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광온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북한이 해상훈련을 미리 통보했다고 하나 이처럼 우리 영해에 포탄을 떨어뜨려 군사적 긴장과 충돌을 조성하는 행위는 어떤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며 “북한은 UN 인권결의안 이후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을 언급하며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 무모한 엄포”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우리 정부가 군사적 도발에는 단호하게, 그러면서도 한반도 평화 관리라는 원칙이 흔들리지 않게 지혜롭게 대처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다만 홍성규 통합진보당 대변인은 “동남해안 경북 포항 일대에서는 지난 27일부터 팀스피리트 이후 22년 만에 최대 규모라는 쌍용훈련이 진행 중”이라며 “미국 측에서 해병대와 해군이 9500여명, 한국 측에서 3000여명 등 모두 1만2500여명의 병력이 동원됐다”고 지적했다.
홍 대변인은 이어 “남북 당국 모두 군사적 긴장을 격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행동이든지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남북 모두의 사려 깊고 신중한 판단으로 이제야말로 긴장과 대립을 넘어 평화와 통일을 위한 길로 나아가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정미 정의당 대변인도 “북한의 이번 해상사격훈련이 팀스피리트 훈련 이후 20여년 만에 실시되는 최대 규모의 상륙훈련에 대한 맞대응 훈련이라고 했다”면서 “이런 군사훈련이 반복되면 남북간 화해협력과 평화 만들기보다는 북에 대한 압박과 안보 강화 정책에 대한 지지 경향도 강해진다”고 우려했다.
이 대변인은 한미 당국에도 “로우키로 진행한다던 올해 한미합동군사훈련의 기조를 바꿔 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훈련을 공개적으로 진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면서 “비핵화를 한반도 제1의 현안으로 간주하면서도 북의 핵능력을 실제로 저지시킬 수 있는 대화에는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되물었다.
이 대변인은 이어 김대중 정부의 페리 프로세스, 노무현 정부의 9.19 공동성명을 언급하며 “‘드레스덴 통일 구상’ 혹은 ‘대북 3대 제안’이란 것이 진정 성과를 거두고자 한다면 한반도 최대 현안인 비핵화, 평화체제 문제를 풀기 위한 적극적이고 담대한 접근과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