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 만에’ 테니스 임용규-정현, 될 성 부른 떡잎의 금 열매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복식 금메달.. 이 부문 28년 만의 쾌거
어린 시절부터 두각..최근 상승세 타고 아시안게임 정상
한국 테니스 남자복식이 1986 서울 아시안게임 이후 28년 만에 금메달의 감격을 누렸다.
임용규(23·당진시청)-정현(18·삼일공고)이 나선 한국은 29일 열우물 테니스경기장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테니스 남자복식 결승에서 인도의 사남 싱-사케스 미네니조를 2-0((7-5 7-6<2>)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이어 ‘노골드’ 위기에 몰렸던 한국 테니스는 임용규-정현의 금메달로 수모를 면했다. 한국이 아시안게임 테니스 남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것은 1986 서울 아시안게임 당시 김봉수·유진선 조 이후 처음이다.
테니스 금메달은 2006 도하 아시안게임 남자 단체전 이후 8년 만이다.
남녀 단식, 남녀 복식, 남녀 단체전, 혼합 복식 등 총 7개 금메달이 걸린 아시안게임 테니스에서 한국은 남자 복식을 제외한 모든 종목에서 메달을 수확하지 못했다.
전날 유키 밤브리-디비즈 샤란(이상 인도)에게 역전승을 거둔 임용규-정현은 이날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1세트를 따낸 한국은 비로 인해 3시간 여 지연되는 어려운 상황 속에도 집중력을 잃지 않고 금메달의 집념을 불태우며 2세트 5-5 상황에서 인도를 몰아붙여 감격적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임용규와 정현은 어린 나이부터 두각을 나타낸 될 성 부른 떡잎이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라켓을 잡은 임용규는 국내 주니어 최고 권위의 대회 장호배 4연패, 2009년 인도 퓨처스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국가대표로 발탁돼 데이비스컵에도 출전했다. 지난 2010년 부상으로 힘겨운 재활의 시간을 보낸 뒤 지난해 7월 유니버시아드 단식에서 정상에 섰다.
정현은 지난해 윔블던 주니어 남자단식 준우승으로 이목을 끌어당겼다. 이후 퓨처스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지난 8월에는 메이저대회 US오픈에 도전장을 던지는 등 한국 테니스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특급 유망주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